SK텔레콤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이 대규모 서비스 개편을 통해 일상의 편의를 돕는 AI 개인비서로 거듭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개편의 가장 큰 특징은 ▲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의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 ▲ 고객의 일상 관리 기능 강화 ▲ 뮤직·미디어·증권·영화예매 등 에이전트를 통한 전문 서비스 이용 경험 강화다. SKT는 기존 구조를 대폭 개선하고, LLM 기반 에이전트와 유연한 대화가 가능한 새로운 UX로 전면 개편했다.
에이닷은 할 일·일정·기록 등 개인 일상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일리' 기능을 선보인다. 에이닷 내에 흩어져 있던 캘린더와 할 일, 루틴, 수면 등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고객이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비서에게 이야기하듯 에이닷에 알려주면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약속, 미팅, 할 일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정이나 약속 수행 시 고려해야 할 날씨와 교통 등 다양한 상황과 고객의 취향·선호도를 고려해 맞춤형 제안을 해준다.
또 글로벌 첨단 LLM을 한 데 모은 멀티 LLM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퍼플렉시티와 챗GPT, 클로드, A.X 등 다양한 대화형AI 모델을 경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적에 따라 엔진을 선택해 답변 받을 수 있고 같은 질문에 대해 쉽게 다른 모델에게 답을 받아 비교할 수 있다.
시중에서 이용 가능한 LLM 각각의 이용 목적이나 장점이 달라 중복해서 결제하거나 여러 서비스를 오가며 사용하는 것이 번거로웠다. 에이닷에서는 최신 LLM 7종의 답변을 한번에 출력하고 비교해가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용료 또한 당분간 무료로 제공된다.
이 밖에도 뮤직, 미디어, 증권, T멤버십 영화예매 등 각 영역별로 특화된 전문 에이전트 서비스를 선보인다. 뮤직·미디어 에이전트의 경우 해당 영역에서 깊이 있는 양방향 대화를 제공하고 음악·영상 콘텐츠 등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한다. 증권 에이전트는 시세 정보 뿐 아니라 각 기업 별 실적·공시 정보, 주식 청약 일정 등을 쉽고 빠르게 알려준다.
T멤버십 영화예매는 영화관 직원과 대화하듯 대화로 쉽게 예매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력과 취향을 반영한 영화 또는 극장을 추천해 예매 과정을 단축했다. 영화 예매 시간이 다가오면 놓치지 않게 에이닷이 다시 알려기도 한다.
김용훈 SK텔레콤 AI서비스사업부장은 "이번 에이닷 개편을 통해 고객들은 진짜 개인 비서와 소통하듯 더 편리하고 자연스러운 대화 경험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고객들의 시간을 절약하고,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AI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
- [카드뉴스] SKT '에이닷', KT '믿음'에 이어 LG유플러스 '익시젠'까지.. 통신사 생성형 AI 3파전 구도 완성
- "이제 AI로 돈 번다"...2분기 호실적 발표한 SKT, AI 매출 확대 자신감(종합)
- [SK이천포럼] 유영상 SKT 대표 "이제 돈 되는 AI 사업에 집중하겠다"
- [SK이천포럼] "AI혁명, 혁신의 기회로"...AGI 선도 목소리 높인 유영상·하정우
- 하이퍼클로바X·에이닷 진화에 이용자는 즐겁다...생활 속 깊숙히 들어오는 '생성형AI'
- "토종 AI서비스 중 '에이닷' 가장 많이 썼다"...한국인이 좋아하는 '생성형AI' 순위는
- SKT, 추석 맞아 '티딜'서 특가 기획전...오는 22일까지 할인 행사
- SKT·SKB, 800Gbps 대용량 유선망 도입..."AI 시대 트래픽 폭증 대비"
- SKT-美 퍼플렉시티, "AI 통한 패러다임 변화 이끈다"...AI 고도화 공동 추진
- SKT, 'AI콜' 통해 고령자 대상 금융범죄 예방 교육지원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