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U+스마트교차로' 국토교통부에게 '최상급' 평가를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U+스마트교차로는 AI 기술을 활용해 차로와 방향별 교통량, 대기행렬, 진행 방향, 차종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정부나 지자체가 관리하는 관제센터에 전송한다. 도로에 설치된 CCTV가 도로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면 U+스마트교차로가 이를 분석해 정확한 도로의 정보를 관제센터로 전송해준다. U+스마트교차로는 소형차, 대형차, 버스 등 차종은 물론이고 차량의 위치나 속도까지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이번 인증은 기술 정확도 99% 이상을 기록해 받게 됐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U+스마트교차로가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도로 운영 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교통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LG유플러스의 U+스마트교차로가 획득한 최상급 평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주관하는 지능형 교통체계(ITS)의 스마트 교차로 시스템(SIS) 분야 기본성능평가다. ITS 기본성능평가는 사업 시행자의 ITS 장비·시스템·서비스가 국토교통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인증 검사다. U+스마트교차로는 정확도 95% 이상을 기록해야 받을 수 있는 최상급 평가를 받았다.
정부나 지자체는 U+스마트교차로가 분석해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효율적인 교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특정 차로에 교통량이 몰리는 시간대를 확인해 주행 신호를 평소보다 더 길게 하는 등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 현장에 발생한 사고 상황 데이터를 토대로 신호 체계를 바꾸거나 우회로를 안내하는 등 빠르게 교통 안전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LG유플러스는 U+스마트교차로 시스템에 ITS 카메라 화각 보정 기술도 탑재했다. 바람이나 진동에 의해서 화각이 틀어지는 경우 AI가 자동으로 감지해 보정해주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통해 도로 인프라 유지와 관리에 필요한 시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G유플러스는 ITS 카메라 화각 보정 기술울 향후 자율주행 시범 사업 등 다양한 ITS 프로젝트에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랩(Lab)장은 "U+스마트교차로에 ITS 카메라 화각 보정 기술을 탑재해 일반 스마트 교차로와의 차별점을 확보했다"며 "ITS 성능평가 공인인증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99% 이상의 정확도로 최상급 등급을 획득하게 돼 뜻깊다"고 말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콜센터품질지수 최우수 기업 선정
- AI로 주식리딩방 스팸도 차단...LG유플러스, '익시 스팸필터' 시스템 적용
- LG유플러스, GSMA와 '오픈 게이트웨이' 미래 수익 모델 찾는다
- LG유플러스, 하늘 누비는 드론으로 섬지역 고객에게 스마트폰 전한다
- LG유플러스, '셀프 결합' 서비스 강화...온라인으로 할인 신청까지
- 20대 마음 홀리는 LG유플러스...대학생 대상 'L자 파일' 무료 증정
- 출시 1주년 맞은 LG유플러스 '너겟'...호텔숙박권·뮤지컬 티켓 쏜다
- ESG 경영 가속화하는 LG유플러스 "폐 전자제품 모아 친환경 경영 앞장"
- LG유플러스, AI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쉬프트' 진행...익시 API 지원
- "버추얼 아티스트 '나이비스'와 AI 인증샷"...LG유플러스, 디자인 축제서 '익시' 알린다
- "온라인 강의도 실시간 AI 번역"...LG유플러스 '유버스' AI 고도화
- LG유플러스, 아이폰16 한정판 '원피스' 굿즈 패키지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