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비영어권 쇼 역대 최고 시청수 1, 2위 기록
상업성·작품성 '두 마리 토끼' 잡아...이례적 피날레 예고
넷플릭스가 오는 27일 '오징어 게임' 시즌3을 공개한다. 이튿날인 28일 서울광장 오프라인 퍼레이드도 연다.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시리즈와 관련해 퍼레이드를 여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감독과 주요 배우들이 함께하는 이 행사는 콘텐츠 홍보를 넘어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 될 예정이다.
'넷플릭스 대표 작품' 자리매김
2021년 9월 17일 첫선을 보인 '오징어 게임' 시즌1은 넷플릭스에 기념비적 기록을 남겼다. 공개 후 17일 만에 1억 1100만 가구가 시청했고, 4주 만에 누적 시청 시간이 16억5000만 시간을 넘기며 당시 넷플릭스 사상 최다 시청 기록을 세웠다. 또 94개국에서 '오늘의 톱 10' 1위에 오르며 넷플릭스 비영어권 드라마의 이정표 역할을 하게 됐다.
후속 시즌의 성적도 두드러진다. 2024년 12월 26일 공개된 시즌2는 첫 주에만 6800만뷰를 기록했고, 같은 기간 시청시간은 4억8760만으로 집계되며 시즌1의 기록을 뛰어넘었다. 전작이 뛰어날수록 좀처럼 성공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시즌제의 그늘을 비켜 갔다.
넷플릭스 투둠(TUDUM) 집계에 따르면 시즌1은 현재까지 2억6520만뷰를 기록하며 '가장 인기 있는 넷플릭스 비영어권 프로그램 TOP 10' 1위에 올라있다. 3위인 '종이의 집' 시즌4보다 약 2.5배 많다. 2위는 1억9260만뷰로 '오징어 게임' 시즌2가 차지했다.
업계에서는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가 비영어권 콘텐츠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 대표적 사례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른 바 'K-콘텐츠'가 플랫폼을 지렛대 삼아 영미권 중심의 콘텐츠 질서를 흔드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작품이라는 설명이다.
문화 장벽 넘은 한류 선봉장
'오징어 게임'은 콘텐츠 수출 성공 사례를 넘어 미국 주류 문화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시상식에도 균열을 냈다. 시즌1으로 2022년 9월 제74회 에미상 시상식에서 배우 이정재가 남우주연상을, 황동혁 감독이 드라마 시리즈 감독상을 수상하며 비영어권 배우와 창작자가 미국 최고 권위 TV 시상식의 울타리 안쪽에 진입하는 선례를 남겼다.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제28회 미국 배우조합상, 제27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2021 미국영화연구소상 등 세계 주요 시상식에서도 수상 행진을 이어갔다. 시장에서는 시즌1, 2를 통해 넷플릭스가 거둔 수익을 조 단위로 추정 중이다. 이는 글로벌 무대에서 'K-콘텐츠'가 산업성과 작품성을 모두 입증한 사건으로 기억된다.
'오징어 게임'의 영향력은 현지 콘텐츠로도 드러났다. 미국 SNL에서 래미 말렉과 피트 데이비슨이 출연한 패러디가 방영됐고, 유튜브에서는 크리에이터 미스터 비스트가 '오징어 게임'과 유사한 콘텐츠를 제작해 현재까지 8억100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게임이나 굿즈 등으로도 제작되며 '오징어 게임'이 할로윈 시즌에 인기를 끌고 있다는 미국 현지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다만 이런 극적 효과는 시즌2에 접어들며 다소 감소했다. 시즌2는 지난해 9월 제76회 에미상에서 FX·훌루 오리지널 시리즈 '쇼군'에 밀려 수상이 불발됐고, 올해 1월 열린 제82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도 트로피를 거머쥐지 못했다. 로튼토마토 관객 평가(팝콘지수)도 시즌2가 63%로 시즌1(83%)보다 감소했다.
시즌3 피날레...'공든 탑' 완성할까
넷플릭스는 시즌3를 마지막으로 '오징어 게임'의 피날레를 전례 없는 방식으로 마무리한다. 작품 공개 다음날인 28일 서울광장에서 감독과 배우들이 참여하는 '오징어 게임 피날레 팬 이벤트'를 연다. 넷플릭스는 이날 자사 오리지널 콘텐츠를 위해 최초로 오프라인 퍼레이드도 진행한다.
시즌3는 총 6부작으로 구성됐다. 회심의 반격이 실패로 돌아가며 친구를 잃은 성기훈(이정재)의 자책과 분노를 그렸다.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의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넷플릭스가 지난 1일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 시즌3 예고편은 조회수 2000만회를 넘어서며 시즌1 공개 이후 3년 넘게 이어져온 마지막 서사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황동혁 감독은 시즌3 공개를 앞두고 지난 9일 열린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과도한 경쟁과 인간의 욕망에 대한 끊임없는 패배감 속에서 우리가 조금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을지 함께 생각을 나눴으면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에 K-콘텐츠의 위상을 높인 작품에 함께할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고 인사를 건넸다. 시즌3은 오는 27일 오후 4시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동시 공개된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美 '지니어스 법' 통과에 카드주 '뚝'...트럼프도 하원에 신속 통과 촉구
- 해외 시장 다시 뛰는 카카오게임즈...'크로노 오디세이' 글로벌 CBT 스타트
- 22살 '메이플스토리', 역대 최고 PC방 점유율 25% 돌파...부동의 1위 'LoL'도 넘본다
- 하정우 AI수석 "3~5년이 AI 골든타임"...그가 그린 AI 생태계 구축 로드맵은
- SKT "유심 교체 900만명 돌파"…영업 정상화, 23일 기대
- 'AI 어벤저스' 꾸리는 메타, 저커버그의 야심이 폭발한다
- 온체인 달러 기대감 '쑥' 美 나스닥 입성한 서클...2주새 530% 오른 이유는
- 이재명 대통령 "울산 AIDC, 지방 경제 및 산업 희망"…최태원 SK "AI 시장 창출 지원 필요"
- [테크M 리포트] 글로벌 판 키우는 카카오뱅크, 亞 정복 나섰다...시총 몸집 '쑥'
- 틱톡, 데이터 기반 창작 활동 지원 나선다...'틱톡 포 아티스트' 출시
- "복지부가 직접 답하라"...국내 게임단체, '게임=중독' 공모전 해명 촉구
- 오케스트로 'K-AI PaaS 서밋 2025' 참가...'AI 인프라 구축 전략' 발표
- NHN링크, '뮤지컬 성지' 대학로서 무료 음료 쏜다...'어쩌면 해피엔딩' 6관왕 기념
- 네이버페이-제주관광공사, 디지털관광증 '나우다' NFT 발급 공동 추진
- 레페리 인테리어 기업 알렉스디자인, '어뮤즈 핑크 하우스' 운영...이색 체험 공간 조성
- IPX, '케이팝스퀘어' 리뉴얼 오픈...K팝과 IP 트렌드 연결 공간으로
- "한국에서 통하면 세계에서 통한다"...AI 기업들이 투자 보따리 싸들고 오는 이유는
- [게임코인TV] 넥슨코인(NXPC)의 중심,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던전앤파이터로 확장?
- 유튜버 지무비와 함께하는 아트·전투...넷마블 '뱀피르' 디렉터스 코멘터리 공개
- 포켓몬코리아, '포켓몬 카드 게임' 모델로 제로베이스원 발탁
- [글로벌] MS, AI 투자 속 인력 구조조정 확대...수천명 감원 예고
- [글로벌] 아마존 로보택시, 연내 출격...자율주행 '3강 경쟁' 본격화
- LG전자, '스페인 발렌시아 프로농구팀 홈구장' 사이니지 공급
- [크립토 브리핑] 미국의 이란 타격에 투심 꽁꽁...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