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33년까지 22조7648억원 규모 계약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AI6 반도체, 삼성전자 텍사스 팹 생산"
삼성전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이 반등의 기회를 잡았다. 테슬라 차세대 반도체 수주에 성공했다. 8년 23조원 규모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7억6416만원 규모 파운드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33년 12월31일까지다.
삼성전자는 계약 상대방 등은 비공개했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에 글을 올린 것을 감안하면 테슬라랑 손을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머스크는 27일(현지시각) X에 "삼성의 새로운 텍사스 생산시설(팹)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6 반도체를 생산한다"라며 "삼성은 AI4를 만들었으며 TSMC와는 AI5 디자인을 끝냈고 대만과 애리조나에서 제조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계약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단일 고객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지속에 청신호가 들어왔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370억달러(약 51조원)을 투자해 파운드리 팹을 건설 중이다. 내년 가동 목표다. 하지만 고객사 확보가 미진해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경쟁력을 입증한 만큼 추가 수주 가능성도 높아졌다. 테일러 팹은 4나노미터(nm) 이하 첨단 공정을 채용했다.
실적 개선 기대감도 올라갔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은 메모리반도체에서 번 돈을 반도체 설계(팹리스, 시스템LSI사업부)와 파운드리(파운드리사업부)가 까먹는 구조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2025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비메모리 사업은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로 판매 제약 및 관련 재고 충당이 발생했으며 라인 가동률 저하가 지속돼 실적이 떨어지나 하반기에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를 축소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설명하는 등 파운드리 사업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이었다.
한편 이 소식이 전해지며 삼성전자 주가는 모처럼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한국거래소(KRX) 기준 삼성전자 종가는 7만400원이다. 전일 종가 대비 6.83% 급등했다. 종가 기준 삼성전자 주가가 7만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9월4일 이후 처음이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
- [크립토 주간 브리핑] 업비트 지수 6주 연속 상승...'스테이블코인 엔터프라이즈' 강세, '드리프트' 20% 급등
- SKT·KT·LG, AI '비용·성능·생태계' 차별점 알리기 '전력투구'…왜?
- 초슬림 '아이폰 17 에어' 이렇게 나온다?...폴더블 전초전 '두께 전쟁'
- [테크M 리포트] "실적 또 날았다" 네이버, 2Q 시장 전망치 또 넘겼다
- [테크M 트렌드] "中 테무·알리 짝퉁 옛말"…'라부부·팝마트' 앞세운 C-소비재, 글로벌 Z세대 겨냥
-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정법 대표발의
- 삼성전자, 프리미엄 올인원 세탁건조기 '인피니트 AI 콤보' 선봬
- [템터뷰] 이민호 크래프톤 e스포츠 총괄 "올림픽에 e스포츠 종주국 게임이 빠질 수 없죠"
- 현대오토에버, 2분기 영업이익 814억원...전년비 18.7% 증가
- 인터넷신문의 날 20주년...이재명 대통령 "인신협이 중심이 돼 언론 본질적 가치 지겨달라"
- 정부 GPU 확보 사업에 네이버·NHN·카카오 선정...엔비디아칩 1만3000장 도입
- [FTB 통신] '원더공팔' 7골 폭발시켰다...젠지, 승점 13점으로 1위
- [기자수첩] e스포츠 '협업의 정석' 크래프톤
- [크립토 브리핑] 美 증시 혼조세에 비트코인 소폭 하락...1억6400만원대 거래
- 빗썸, 가입자 1000만 시대 열다…'제2의 도약' 본격화
-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 'DGX 스파크' 국내 예약 주문 시작
- 장현국 넥써쓰 대표 "게임 토큰·네이티브 토큰·스테이블코인 유기적 연결이 중요"
- 안랩, 상반기 영업이익 45억..."클라우드·해외사업 호조"
- 홍관희 LG유플러스 센터장 "스팸·보이스피싱 가장 적은 통신사 목표…보안 사고 나면 책임질 것"
- 보이스피싱 차단, 통신사도 '총력전'…KT·LG유플러스 "AI 목소리도 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