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033년까지 22조7648억원 규모 계약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AI6 반도체, 삼성전자 텍사스 팹 생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X/사진=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X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X/사진=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X

삼성전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사업이 반등의 기회를 잡았다. 테슬라 차세대 반도체 수주에 성공했다. 8년 23조원 규모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기업과 22조7647억6416만원 규모 파운드리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계약 기간은 오는 2033년 12월31일까지다.

삼성전자는 계약 상대방 등은 비공개했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에 글을 올린 것을 감안하면 테슬라랑 손을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머스크는 27일(현지시각) X에 "삼성의 새로운 텍사스 생산시설(팹)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6 반도체를 생산한다"라며 "삼성은 AI4를 만들었으며 TSMC와는 AI5 디자인을 끝냈고 대만과 애리조나에서 제조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계약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단일 고객 최대 규모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지속에 청신호가 들어왔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370억달러(약 51조원)을 투자해 파운드리 팹을 건설 중이다. 내년 가동 목표다. 하지만 고객사 확보가 미진해 시기가 늦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경쟁력을 입증한 만큼 추가 수주 가능성도 높아졌다. 테일러 팹은 4나노미터(nm) 이하 첨단 공정을 채용했다.

실적 개선 기대감도 올라갔다.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은 메모리반도체에서 번 돈을 반도체 설계(팹리스, 시스템LSI사업부)와 파운드리(파운드리사업부)가 까먹는 구조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2025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비메모리 사업은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로 판매 제약 및 관련 재고 충당이 발생했으며 라인 가동률 저하가 지속돼 실적이 떨어지나 하반기에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를 축소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설명하는 등 파운드리 사업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이었다.

한편 이 소식이 전해지며 삼성전자 주가는 모처럼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한국거래소(KRX) 기준 삼성전자 종가는 7만400원이다. 전일 종가 대비 6.83% 급등했다. 종가 기준 삼성전자 주가가 7만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9월4일 이후 처음이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