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두나무
사진=두나무

 

국내 최대 코인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창사 이후 첫 자체 블록체인을 꺼내들었다. 이름은 '기와'로 기와 기반의 지갑도 내놓을 예정이다. 한국형 스테이블코인 대중화와 더불어 두나무 기반의 토종 코인 발행(ICO) 시장이 대거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9일 두나무는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Upbit D Conference·UDC)'를 통해 자체 블록체인 기와를 공개했다.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어2로, 두나무가 직접 체인 개발을 주도했다. 기와 기반의 월렛도 공개, 이를 통해 토종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각오다. 기와체인은 옵티미스틱 롤업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한다. 두나무 측은 "기와는 겹겹이 모여 지붕을 이루고, 수백년간 비바람을 막아 우리 선조들을 안전하게 지켜왔다"며 "기와체인이라는 명칭 역시 블록체인 상에 겹겹이 쌓이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체인이 되길 바라는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프닝 무대에 오른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인터넷 혁명과 인공지능 혁명에서는 글로벌 빅테크의 공세에 수세적으로 대응해왔다면 신뢰 기반 블록체인 혁명에서는 한국이 공세적 포지션에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며 "세계적 규모와 기술력을 확보한 업비트는 대한민국 대표주자로서 글로벌 무대에 앞장서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은 금융과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가교이자 금융 주권의 핵심으로 부상했다"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성공적 활성화는 거래소의 유통 역량과 블록체인 인프라 확산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두나무는 자체 블록체인 기와 체인과 기와 월렛을 UDC 무대에서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 대표는 "법인용 수탁 서비스 업비트 커스터디와 글로벌에서 인정받은 트래블룰 솔루션 베리파이 바스프까지 준비하며 K-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앞장서 왔다"며 "대한민국이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리더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사실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는 미국, 싱가포르 등 '한국 밖 세상'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다. 해외 블록체인 산업은 스마트 콘트랙트를 기반으로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웹3 생태계를 확장해 왔지만 토종 개발시장은 주류 플랫폼이 없어 해외 서비스에 의존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이에 두나무는 더 많은 국내 개발자들이 기와체인에서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 웹3 생태계에 진입을 유도하고 글로벌 웹3 시장에서 판을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코인베이스가 베이스 생태계를 꾸리고 이를 통해 웹3 플레이어를 대거 모집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특히 코인베이스는 자체 코인을 발행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육성, 베이스 생태계의 기업들이 코인을 발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잇다.  

기와월렛 이용자는 월렛을 통해 가상자산을 보관, 송금, 관리할 수 있고 모바일 앱 형태로 제공되며, 사용료는 무료다. 이더리움 뿐 아니라 코인베이스 베이스, 옵티미즘, 아비트럼, 폴리곤, 아발란체, 기와체인을 우선 지원하며 향후 더 많은 체인을 순차적으로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두나무 관계자는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웹3 시장에서 소외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나아가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에 이바지하고, 글로벌 웹3 시장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