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즈랩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18일 KISA 서울 청사에서 2025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실증 참여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설명회는 보안 업무에 AI 활용을 어려워하는 국내 기업·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AI 침해 대응 모델 현장 실증 결과와 활용 방안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전·오후 두 차례 진행된다
샌즈랩은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최신화 및 활용 강화' 사업 실증을 소개하고 수요처를 대상으로 직접 이를 수행한다. 참가 기관은 ▲API 연동 ▲전용 UI(KISA C-TAS) ▲데이터셋 제공 등 4가지 방식으로 AI 침해 대응 모델을 체험할 수 있다.
올해 AI 데이터셋 실증은 AI 기반 탐지·분석·대응 프로세스를 실제 보안 운영 환경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샌즈랩은 이를 통해 ▲EXE·PDF·ELF 파일 악성 여부 판별 ▲도메인 악성 여부 판별 ▲지능형 지속 공격(APT) 공격 그룹 식별 등 다양한 위협 대응 모델을 실무 환경에서 검증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AI 모델은 수요처가 실시간으로 최신 위협 데이터를 검색·탐지하고 악성코드, APT 공격 그룹, 악성 도메인 등을 자동 판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해당 체계로 보안 전문 인력이 부족한 중소·영세기업이나 현장 적용성이 중요한 기관도 AI 기반 위협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실증이 완료되면 ▲중소·영세기업의 보안 역량 향상 ▲산업군별 침해 사례 기반의 AI 대응 전략 수립 ▲정부-민간 협업 기반 확대 등 다층적 효과가 예상된다.
샌즈랩은 생성형 AI를 악용한 공격이 급증하면서 설명형 AI 침해 대응 모델을 조기에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국가 차원의 선도 사례이자 향후 보안 정책 수립의 기준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빛나는 더 스타라이트] MMORPG로 즐기는 배틀로얄 경쟁...재미·장르 차별화 꾀한다
- [빛나는 더 스타라이트] 듀얼 클래스로 진화하는 새로운 전투...핵심 캐릭터 5종 '눈길'
- [빛나는 더 스타라이트] 모바일 강자 컴투스, MMORPG 퍼블리셔로 다시 뛴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진심인 위메이드...내년 차세대 블록체인 '스테이블 원' 띄운다
- 티맵, 내비 넘어 '모빌리티 AI 에이전트'로 진화한다
- 김석환 위메이드 부사장 "블록체인 서비스 경험,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기여할 것"
- 韓 결제시장 노리는 美 스테이블코인...금융사 이어 결제 파트너십 확보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