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AI로 수익 창출할 수 있을지, 어떤 AX 기술 선택해야 실질적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지, 질문의 답은 고객과 공급자를 연결하는 'AX 조력자(Enabler)'다.
코오롱베니트가 글로벌 벤더와 국내 스타트업, 자체 구축한 AI 얼라이언스에 기반한 'AX 생태계'를 공개하며 AX 조력자로서의 비전을 밝혔다.
30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린 'AX 부스트 서밋 2025'에서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는 "AI는 최근 몇 개월 사이 수년 치에 해당하는 변화를 만들어내며 산업 경계와 고객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있다"며 "AX는 혼자서 이룰 수 없는 변화며, 준비된 파트너와 생태계를 통해서만 빠른 성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 대표는 코오롱베니트가 글로벌 벤더와 한국 스타트업, 국내 최대 규모의 AI 얼라이언스와 함께 구축한 AX 생태계를 공개했다. AI얼라이언스는 코오롱베니트가 중심이 돼 각 기업의 AI 기술을 조합해 프리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고객사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공급한다.
강 대표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신속히 연결해 고객 성과를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AI 얼라이언스에 참여 중인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는 특별 기조연설에서 코오롱베니트와의 협력 사례와 향후 추진할 'NPU 솔루션 센터' 추진 계획 등을 밝혔다. 양사는 리벨리온의 기술력과 코오롱베니트의 유통망 및 도메인 전문성을 활용해 NPU 보급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베니트는 추론에 특화된 리벨리온 신경망처리장치(NPU)를 도입한 건설현장 안전 관제 서비스 'AI 비전 인텔리전스'를 개발 중이다. 이 같은 협업 관계를 통해 리벨리온은 국내 소버린 AI 사업은 물론, 아태, 중동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박 대표는 "코오롱베니트가 개발한 특화 엔터프라이즈 LLM 모델에 NPU를 적용하고 있고 비전 AI를 다른 현장에 도입하는 계획도 진행 중"이라며 "NPU 고객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팀처럼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코오롱베니트는 AI 통합 플랫폼 '프롬튼(PromptON)'도 처음 공개했다. 프롬튼은 AI에게 주는 입력 문구를 뜻하는 프롬프트(Prompt)와 항상 준비된 상태(ON)를 뜻하는 단어를 합쳐 최적의 AI를 적시 공급하겠다는 의미를 강조한 코오롱베니트의 자체 개발 신규 AI 서비스다.
코오롱베니트는 프롬튼을 통해 사내 데이터와 글로벌·국산 AI 모델을 안전하게 연결하고, 다양한 AI 서비스와 도메인 특화 솔루션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AI 허브를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종찬 코오롱베니트 전무는 "당사 AX추진실이 개발한 프롬튼이 상용 AI 서비스의 약점을 보완하여 몇 년 내 경영현장과 제조현장을 아우르는 통합 AI 플랫폼으로 성장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e스포츠人] "16강서 '원더08' 만나고파"...정면 승부 선택한 '엑시토'
- [스냅드래곤서밋] 퀄컴 '스냅드래곤X2 엘리트 익스트림', 인텔·애플보다 빠를까?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1억6000만원선 회복...4분기 추가 상승 여력 가능성도
- 소프트캠프, 에이트러스트와 온프레미스 보안 어플라이언스 시장 확대 나선다
- LG AI 세탁 가전, 더 다양해졌다...대용량부터 1인가구 위한 신제품 출시
- 삼성전자 DX부문, 3분기 B2C·B2B 공세 강화…TV·가전, 실적 반등 '총력전'
- 코오롱베니트, 리벨리온 손잡고 '소버린 AI' 시장 공략
- "게임은 국가적 산업, 글로벌 경쟁력 높아"...제작비 세액공제 활성화 목소리 낸 게임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