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베니트가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과 손잡고 '소버린 AI' 시장 공략에 나선다.
30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개최한 '코오롱베니트 AX 부스트 서밋 2025'에서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와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NPU 솔루션 센터'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두 회사는 NPU 솔루션 센터를 '소버린 AI 허브'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두 회사는 지난해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리소스를 최적화할 신경망처리장치(NPU) 기반의 AI 전용 인프라와 사업 모델을 동시에 구축하는 'AI 엑셀러레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이런 협업의 성과로 코오롱베니트가 자체 개발한 AI 안전 관제 솔루션 'AI 비전 인텔리전스'에 리벨리온의 NPU를 적용, 추론 속도와 정확도는 높이고 소비전력은 줄이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코오롱베니트는 AI 비전 인텔리전스를 실제 코오롱글로벌 건설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외부 고객사로 확장도 추진 중이다.
양사는 이 같은 협업 성과를 가속화하기 위해 NPU 솔루션 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리벨리온은 제품 공급, 코오롱베니트는 유통 및 서비스 총괄을 담당하는 방식으로, AI 풀스택 기반에 산업현장 전문성과 고객 요구사항을 녹여낸 소버린 AI를 제공하는 게 목표다.
박성현 대표는 "내년부터 규모있게 소버린 AI 사업을 쭉 펼쳐나갈 것"이라며 "공공에서 레퍼런스를 잘 만들어 아시아, 중동 등 글로벌로 가져가는 게 코오롱베니트와 리벨리온의 큰 그림"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AI가 논문 상에 머물거나 기술 시연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실제 엔드유저에게 적용되려면 생태계가 핵심"이라며 "코오롱베니트의 AI 얼라이언스가 잘 구축돼 있어 이를 구심점으로 제대로 판을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이구 대표는 "코오롱베니트가 총판을 맡고 있는 밴더 제품들과 리벨리온의 NPU를 결합한 제품 출시도 협의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NPU 제품을 시장에 빠르게 공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코오롱베니트는 이 같이 AI 얼라이언스를 주축으로 한 AI 생태계를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들이 AI 실질적인 사업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조력자'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강이구 대표는 "AI에 대한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려면 종합적인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AI 서비스를 만드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밴더와 글로벌 파트너 모두 사업화를 위해 고객으로 가는 길목에서 AI 얼라이언스가 실질적인 강점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해 AI 얼라이언스 출범 이후 참여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며 "경쟁력 있는 솔루션을 프리 패키지화해 시장에 선보일 준비가 된 만큼 앞으로 더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스냅드래곤서밋] 퀄컴 '스냅드래곤X2 엘리트 익스트림', 인텔·애플보다 빠를까?
- 코오롱베니트 'AX 생태계' 본격 확장..."공급사-고객 연결하는 'AX 조력자' 될 것"
- 삼성전자 DX부문, 3분기 B2C·B2B 공세 강화…TV·가전, 실적 반등 '총력전'
- "대금 조기 지급부터 봉사활동까지"…ICT업계, 추석 맞이 ESG 강화
- "게임은 국가적 산업, 글로벌 경쟁력 높아"...제작비 세액공제 활성화 목소리 낸 게임업계
- [글로벌] 트럼프, MS에 '반트럼프' 인사 해고 공개 요구...미국 안보 위협 주장
- 학계·전문가들 "원화 스테이블코인, 외환시장 안정성 가져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