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AI, '사회적 가치' 계량화 가능

최태원 SK 회장/사진=SK 제공
최태원 SK 회장/사진=SK 제공

최태원 SK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이 '사회적 가치(SV)'를 환기했다. 자본주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AI)을 통해 SV 계량화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21일 최 회장은 일본 도쿄 도쿄대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에서 "현재의 자본주의 아래에서 우리는 ▲환경 문제 ▲사회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해 얻는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자본주의의 틀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일본 도쿄대가 주관하는 국제 포럼이다. 2019년 시작했다. 올해 주제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Rethinking Capitalism: Varieties, Contradictions, and Futures)'다. 이날과 22일 양일간 진행한다.

최 회장은 "기존 자본주의는 재무적 측면만 집중하고 SV에 대해서는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라며는 "SV는 쉽게 측정할 수 없어 SV를 창출하기 위한 자원의 최적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SV는 경제적 이윤을 넘어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행복을 증진하는 것을 뜻한다.

최 회장은 "그동안 SV를 측정하는 데 많은 거래 비용이 필요했고 데이터 부족 등의 한계가 많았다"며 "현재는 디지털 기술과 AI라는 측정 측면의 아주 좋은 도구가 있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SV의 체계적 측정과 평가가 가능해지면 우리는 자원을 다르게 배분하고 행동을 바꾸기 위한 인센티브를 만들 수 있다"라며 이를 '새로운 자본주의'라고 지칭했다. 자본주의가 재무적 가치뿐 아니라 SV를 포함하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더 나은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최 회장은 SV 정량화를 SK그룹에서 실천하고 있다. SK는 계열사별로 ▲일자리 창출 ▲납세 ▲환경 영향 ▲지역사회 기여 등 다양한 항목을 플러스 마이너스로 평가하고 있다.

그는 "이렇게 측정이 시작되면 기업의 의사결정 방식이 달라진다"라며 "이제 기업의 핵심성과지표(KPI)는 재무적 가치 창출에 머물지 않는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최소한 SV를 훼손하지 않는 것을 넘어, 매년 이를 지속적으로 높여가는 것이 목표가 됐다"라며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자원 배분 기준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며 재무 성과 중심에서 SV까지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부연했다.

한편 최 회장은 '비즈니스 리더 세션'에서 ▲후지이 데루오 도쿄대 총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 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이한주 뉴베리글로벌 회장 등과 '새로운 시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자본주의 모델 탐색(Exploring Sustainable Models of Capitalism for a New Era)'에 관한 토론도 가졌다. '협력적 자본주의'와 AI 등을 사용한 해결책 등을 논의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