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디미닛
/그래픽=디미닛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이동통신3사가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지난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에 가까운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정작 소비자들을 위한 5G 망 투자에는 인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5G 요금을 내면서도 5G에 기대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게다가 최근 발표된 정부의 5G 품질평가에서도 당초 이통사들이 홍보했던 LTE보다 20배 빠르다는 속도가 고작 4배 더 빠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통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5G 망 투자에 나서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된 5G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각각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3사 모두 영업이익이 지난 분기보다 두 자릿수 이상 대폭 개선됐다.


이통3사 모두 영업이익 두 자릿수 성장


SK텔레콤은 지난 2분기 매출 4조6028억원, 영업이익 359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3.74%, 11.3% 확대됐다.

KT와 LG유플러스 역시 마찬가지다. KT는 2분기 매출 5조8765억원, 영업이익 341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3.6%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8.6% 늘었다. LG유플러스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5.1%, 59.2% 증가했다. 매출은 3조2726억원, 영업이익은 2397억원이다.

매출은 소폭 증가하거나 감소했음에도 영업이익이 모두 큰폭으로 상승했다. 이통3사는 효율적인 마케팅비용 사용 등 비용 절감을 통해 실적 개선을 일궈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이통3사는 지난 2분기, 효율적인 운영과 모바일, IPTV, B2B 분야 성장을 기반으로 좋은 실적을 냈다. 하지만 유독 눈길이 가는 수치는 설비투자(CAPEX)다.


돈은 벌었는데... 5G 투자는 '찔끔'


3사 모두 올 상반기에 집행한 설비투자 금액이 지난해 설비투자에 사용한 금액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사실상 올 상반기, 5G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나마 가장 많은 금액을 설비투자에 쏟아부은 SK텔레콤이 상반기에 1조2244억원을 투자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투자한 2조9154억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물론 SK텔레콤은 전통적으로 4분기에 설비투자 금액이 급증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올 상반기 설비투자에 1조원도 사용하지 않았다. KT는 9673억원을 투자했고 LG유플러스도 9999억원에 그쳤다.

KT의 연간 설비투자 가이던스는 3조2750억원, LG유플러스의 가이던스는 2조5000억원이다. 가이던스를 맞추기 위해서는 하반기에만 KT가 2조3000억, LG유플러스가 1조5000억원을 투자해야 한다. SK텔레콤은 별도로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았다.


5G 품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은 쌓여만 간다


이통사들이 5G 투자를 미적대고 있는 동안 이용자들의 불만은 가중되고 있다. 5G 가입자는 700만명을 돌파했는데, 여러 5G 이용자들이 제대로 된 5G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일부 이용자들은 5G 요금제를 이용하면서 울며겨자먹기로 LTE 우선모드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 최근 발표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5G 품질평가 결과, 상용화 1년이 훌쩍 넘도로 서울과 6대 광역시 도심 지역에서만 5G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지하철의 5G 커버리지가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속도 역시 부족하다. 통신사들은 5G가 LTE보다 20배 빠르다고 홍보했지만, 실제 측정한 결과 LTE보다 다운로드 속도는 4배, 업로드 속도는 고작 1.5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망 투자 초기라는 점과, 5G 단독모드를 아직 구축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이론상 속도와 실제 속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품질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미 통신사들이 소비자들에게 5G 요금을 받고 있는 만큼, 5G 망 투자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통신사들은 주파수 대가나 방통위 과징금 때마다 5G 투자 부담을 앞세우고 있는데, 정작 자신들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