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데이터 농업 스타트업 '그린랩스'와 초기 도입비와 유지비를 획기적으로 낮춘 '보급형 스마트팜'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8일 밝혔다.
스마트팜은 5세대(5G),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농장을 말한다. 보급형 스마트팜은 수십만 원 수준의 초기 투자비용으로 농가들의 진입장벽을 대폭 낮춘 것이 특징이다.
양사는 보급형 스마트팜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속초 딸기 농가에 무상 공급할 계획이다. 전체 구축에 필요한 장비 20여대를 무료로 설치하고, 서비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 향후 스마트팜 서비스에 지능형 CCTV, IoT출입감지센서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 기기와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도록 지속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서비스의 핵심은 ▲농장환경 원격관제 ▲기상정보 알림 ▲데이터 기반 작물·시기별 최적화 정보제공 ▲농업전문가와의 온라인 1:1 멘토링이다.
LG유플러스가 무선망 품질·네트워크 장비 관리, 최적화 통신요금·프로모션 설계 등 스마트팜의 기본 인프라를 조성하면 그린랩스가 자체 솔루션 '팜모닝'을 활용해 재배작물 맞춤형 분석, 알림 및 부가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가장 눈에 띄는 서비스는 농장주가 현장방문 없이 컴퓨터·스마트폰으로 농가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원격관제 기능'이다. 농가 내에 각종 센서를 설치해 온·습도, 토양EC(전기전도도)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LTE·5G로 클라우드 서버에 보내 간편하게 모아볼 수 있다.
또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일종의 농경영 가이드를 제시해주는 역할도 한다. 아울러 도움이 필요한 농가에 농업전문인을 연결해주는 1:1 멘토링 서비스도 제공한다. 영농일지와 농산물 시세, 농산물 백과사전, 지역행사 안내 등 농가에서 꼭 필요한 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주영준 LG유플러스 미래기술개발Lab 담당은 "양사가 준비한 이번 보급형 서비스를 통해 농가들의 스마트팜 진입장벽이 획기적으로 낮아지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그린랩스와 다양한 스마트팜 모델을 발굴해 국내 농업 경쟁력 제고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U+알뜰폰 셀프개통 전년대비 2배 증가"
- 이통유통협회 "상생협약 무시한 이통사, 쿠팡 휴대폰 판매로 소상공인 말살"
- 펭수! 네가 왜 거기서 나와
- "600조 시장을 잡아라!" 이통3사,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정조준'
- 이통3사 "추석 때도 안전한 '패스 QR출입증' 사용하세요"
- LGU+, 건강검진 '데이터'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한다
- [주린이톡]'이통 3사' 투자 원픽은 KT?…하반기를 주목하는 이유
- AI 원팀 서밋 2020 개최... 협업사례-주요성과 발표
- LGU+, 요금 10% 기부하고 소득공제 받는 알뜰폰 요금제 출시
- LGU+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VR AR 체험하세요"
- 'U+영화월정액' 가입하면 추석 장보기 지원금 5만원 쏜다
- LG유플러스 더라이프, '클래식은 왜그래' 7일 첫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