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의 운영사인 람다256은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약리센터와 블록체인 기반 임상시험 플랫폼 공동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의료정보 시스템의 전산화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임상시험 분야에서는 상당히 많은 자료들이 수기로 작성되고 있다. 그로 인해 의뢰사인 제약사 및 CRO는 시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료들이 적절히 수집, 관리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병원에 직접 방문해 문서들을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확인하고 있다. 이는 임상시험 비용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양사가 협력 중인 임상시험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추진됐다. 임상시험에 관여하는 제약사, CRO, 병원 등이 블록체인 플랫폼 상의 노드로 참여하고, 시험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료들을 블록체인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자료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고한다는 것이다.
해당 임상시험 플랫폼 구축을 위해 람다256과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약리센터는 블록체인 기술 및 전문 인력의 교류와 협력을 도모하고, 해당 플랫폼을 통해 의료데이터 추적성 향상과 국내 임상시험 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또 이후 블록체인 상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의료산업에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임상시험 플랫폼 구축을 위해 개발된 서비스 모델의 지속적인 활용을 위해 관련 정책 및 제도 연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박광세 람다256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이번 계약은 IT와 의학계 간의 매우 유의미한 협업이라 생각한다"며 "람다256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블록체인 기술 지원을 통해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약리센터가 임상시험 산업을 리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걸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약리센터장은 "블록체인은 의료 데이터의 추적성 향상과 불변성 확보가 가능하며,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약리센터에서 연구 중인 차세대 임상시험 플랫폼에 최적화된 기술이라 생각한다"며 "람다256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 임상시험 산업을 활성화하고 해당 플랫폼을 해외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람다256의 '트래블룰 얼라이언스'에 12개 글로벌 파트너 모였다
- 람다256, 하이퍼레저 패브릭 2.2 지원한다
- 람다256-밀크파트너스, 분산형 신원인증(DID) 사업 추진
- 람다256 '루니버스', 일본 기업 '출결 관리서비스'에 도입된다
- "블록체인도 포인트 시대" 람다256, 루니버스 로열티 포인트 출시
- 람다256 '블록체인 포인트' 웨비나 개최
- [테크B CON] 람다256 "야놀자 호텔 체크인, DID '밈'으로 한다"
- 네이버클라우드-람다256 '맞손'... BaaS로 공공 블록체인 확산 나서
- '디앱부터 가상자산 거래소 트래블룰까지' 두나무 람다256이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