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AI 무인차 시대' 기반 완성
800미터 떨어진 공영주차장까지 스스로 이동, 주차
모든 서비스를 모바일 앱으로 구현해 편의성↑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모델이 서울시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에서 5G 자율주행차 'A1(에이원)'에 탑승해 모바일 앱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제공

사람 도움 없이 스스로 주차하는 '인공지능(AI) 운전기사' 시대가 현실화됐다.

17일 LG유플러스는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차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5G 자율주차는 자동차가 스스로 인근 주차장을 찾아가 빈 자리에 주차하는 일종의 '자율 발렛파킹(대리주차)'이다. 이번 시연은 지난해 10월 LG유플러스가 차량의 무인 원격호출 기술을 선보인 이후 약 1년만이다. 

이번 시연에는 지난해 선보인 5G 자율주행차 '에이원(A1)'이 더욱 진화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탑재된 ▲5G 자율주행 기술뿐만 아니라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솔루션 ▲5G 클라우드 관제 서비스 플랫폼이 더해졌다. 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를 연계해 운전자가 차량 조작·위치 파악을 손쉽게 하도록 했다.


약 5분간 주행한 뒤 빈 주차공간에 주차 시연


공개 시연은 서울시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에서 진행됐다. A1은 'YTN뉴스퀘어' 건물에서부터 상암1공영주차장까지 약 800m 거리를 5분간 이동한 후 빈 주차공간에 자리를 잡고 스스로 시동을 껐다. A1에서 내린 운전석 탑승자가 모바일 앱으로 인근 주차장을 검색해 비어 있는 주차 공간을 터치하니 자동차가 스스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주차장까지 가는 동안에는 총 5개의 횡단보도와 3개의 교차로를 만났다. A1은 신호등과 통신(5G-V2X)으로 소통하며 매 순간 주행을 지속할지, 제동을 시작할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했다. 궂은 날씨나 빛의 굴절, 가로수 시야 방해 등으로 카메라 인식의 오차가 발생할 확률도 사라졌다.

주행 중에는 '인공지능(AI) 기반 주행 환경 인식' 기술이 핵심적 역할을 했다. 차량에 장착된 라이다, 레이다 센서 정보로 A1의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미래 상황을 예측했다. 이를 통해 전·후·측방 차량의 차선변경과 갑작스러운 끼어들기에 안정적으로 대응했다.

갓길 돌발적 주·정차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하철역 인근에서는 자율적 차량제어 기술이 돋보였다. A1의 앞·뒤는 종방향 제어, 좌·우는 횡방향 제어를 통해 주변 차량들과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지하철역 근처를 순조롭게 통과했다.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관계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5G 자율주행차 'A1(에이원)'을 인근 주차장 빈 자리로 자율주차 보내는 화면. /사진=LG유플러스 제공

차량 무인픽업-주행-주차... 나만의 AI운전기사 된다


이후 5G 자율주차에서는 단 한 번의 후진으로 주차가 마무리됐다. 특히 차량 좌우의 여유 공간이 마치 자로 잰 듯이 동일해 현장에서는 '사람보다 낫다'는 평이 나오기도 했다. A1이 손쉽게 주차를 한 데에는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시스템과 5G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의 역할이 컸다는 분석이다.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시스템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주차장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빈 자리 현황을 읽어낸다. 사전에 비어 있는 공간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채도로 인공지능(AI)에게 학습시켜, CCTV 상 화면만으로 빈 자리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찾은 빈 주차공간 데이터는 5G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으로 모두 취합된다. 이후 해당 정보가 모바일 앱으로 전달돼 탑승자가 확인하게 되는 방식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5G 자율주차를 통해 차량의 무인 픽업-주행-주차로 이어지는 일련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 기반이 완성된 것으로 평가했다. 승∙하차를 위한 지체 시간이 사라져 마치 '콜택시'나 '나만의 AI 운전기사'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약속 시간에 임박해 건물 앞에 도착하거나, 출퇴근 또는 중요한 미팅 시 주차장 탐색∙빈 자리 찾기∙주차하기∙돌아오기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 10분 이상 단축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5G 자율주행차 A1은 그간 137회의 비공개 5G 자율주차 실증을 거쳤다. ACELAB, 컨트롤웍스, LG유플러스는 이르면 내달부터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개 시연을 시작할 예정이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ACELAB 교수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에 기반한 5G 자율 주행·주차 서비스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국내 자동차 기술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나아가 향후 장애인·고령자·임산부 등 교통 약자들을 위한 서비스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