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세종특별자치시(세종시)의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및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은 '자율주행 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실증 차량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고, 관제 컨트롤 타워 구축 및 향후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관제센터를 구축한다.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는 자율주행 실증차량의 운행·인프라·교통 정보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뒤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다. 5세대(5G)도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관제센터에서는 세종시 자율주행 실증에 투입하는 차량에 대한 ▲실시간 관제 및 현황 관리 ▲실증 테스트 관리 ▲V2X(Vehicle to Everything) 인프라 관리 ▲정밀지도 구축 및 관리 등 통합 관제가 가능하다.
특히 이번 사업에서 LG유플러스는 세종시 내에서 진행되는 자율주행 실증 환경의 다양화를 위해 기존 실증구간을 60km 범위까지 늘릴 수 있도록 정밀지도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고정밀 측위기술(RTK)도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빅데이터 관제센터 내에는 '오픈랩'도 구축될 예정이다. 오픈랩에서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수집 및 분석한 자율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빅데이터를 개방, 오픈 API를 제공하는 등 중소기업의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및 상용화도 지원한다. 보안도 한층 더 강화한다. V2X 통신 인프라의 보안을 위한 보안인증체계와 오픈랩에는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할 계획이다.
한편,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는 세종시 산학연 클러스터 지원센터 내에 오는 7월까지 구축을 완료하고, 안정화 기간을 거쳐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강종오 LG유플러스 스마트시티사업담당 상무는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 서비스(V2X) 네트워크 기술의 강점과 컨소시엄사들의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C-ITS) 수행 경험 등을 바탕으로 이번 빅데이터 자율주행 관제센터 구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며 "단순한 실증을 넘어 향후 자율주행 상용화, 스마트시티로의 확산 등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온택트 덕력검증소 골든차일드편, 'U+아이돌Live'서 본다
- '조성진'이 연주하는 모차르트 미공개 곡, 'U+tv'서 본다
- LG유플러스, 월 3만7500원 '5G 온라인 요금제' 출시
- "아이폰 12 끌고 탈통신 밀고" 이통3사 4분기 성적표도 '맑음'
- "유심개통-요금 납부도 언택트로" LGU+, 오프라인 매장에 'U+키오스크' 도입
- U+알뜰폰 '희망풍차 기부요금제' 가입자 5000명 달성
- "장애가정 청소년 지원" LGU+, '두드림 U+요술통장' 발대식 개최
- 스마트폰, 이젠 무인매장서 산다
- LG유플러스, 양자내성암호로 안전한 의료정보시스템 만든다
- 5G 1200만 시대... 올해는 20배 빠른 '진짜 5G' 이용할 수 있을까
- LGU+, 5G로 스마트 수소산업 선도한다… 창원시와 '맞손'
- 유무선, TV 모두 '맑음'... LGU+ 지난해 영업이익 전년비 29.1%↑
- '통신' 집중 LGU+, 5G 가입자 400만 목표... 세그멘트 전략 통했다
- [글로벌] 자율주행 택시 첫 상용화, 중국에선 바이두가 가장 먼저
- LG유플러스, 양자내성암호 적용망 TTA 시험 검증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