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관제 시스템' 상용화 완료
KT는 미디어 플랫폼 품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빠르게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미디어 플랫폼 인공지능(AI) 관제 시스템'을 상용화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KT가 이번에 도입한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은 네트워크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디어 플랫폼 품질에 영향을 주는 ▲네트워크 상태 ▲서버 성능 ▲애플리케이션 정보 ▲고객 단말 서비스 품질 ▲기후 환경 등 다양한 평가 지표들을 통합 분석하는 장애 예방 시스템이다.
KT는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을 '올레tv', '기가지니', 시즌(Seezn) 등 주요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에 시스템 적용 완료했다.
특히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에는 딥러닝에 기반을 둔 AI 엔진이 탑재돼 서비스 품질 변화, 미디어 트래픽 변화, 이상 징후 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장애 발생을 예측한 경우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딥러닝 결과를 토대로 상황별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적용한다.
이를 활용하면 장애 발생 시점을 20분 앞서 예측해 신속히 사전 예방 조치를 적용할 수 있다. 담당 엔지니어가 장애 발생 후 원인을 분석하고 사후에 조치하는 기존 시스템보다 장애 분석과 복구 소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앞으로 KT는 '미디어 플랫폼 AI 관제 시스템'을 네트워크 인프라, 플랫폼, 클라우드 서버를 종합적으로 관제 가능한 시스템으로 고도화하며 AI 엔진과 고객 DB를 한층 강화하고 적용 서비스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은 "미디어 플랫폼 품질 관리에 AI 기술을 적용해 고객에게 더 안정적인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디지털 플랫폼의 품질 관리 모델을 지속 연구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KT, 부산 택시 1만대에 코로나19 대비 '안심택시 콜체크인' 서비스 보급
- KT, 구로IT밸리에 '남구로 IDC' 열었다
- 구현모 KT "고객 눈높이 바뀌는만큼, KT 내부 프로세스도 모두 바꿔야"
- KT "30만원대 5G 스마트폰 '갤럭시 점프' 사전예약하세요~"
- KT-현대중공업그룹, 로봇사업 협력 스타트업 발굴 '맞손'
- KT, AMD 서버 클라우드 상품 출시
- "찍고, 말하면 펼쳐지는 영어놀이터" KT, 올레 tv '키즈랜드 5.0' 선보인다
- "복약 알림부터 임영웅 노래까지" KT, AI 돌봄 서비스로 광주 어르신 돕는다
- "AI 큐레이션 콘텐츠 추천, LED 감정표현까지" KT, '기가지니3'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