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IDQ(ID Quantique), 유알정보기술 등으로 구성된 'SKB컨소시엄'은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운영' 국책 과제를 수주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디지털뉴딜'의 일환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발주했다. SKB컨소시엄은 7개 기관 9개 구간에 양자암호통신을 적용·구축한다. 또한 SKB컨소시엄은 이기종(異機種) 양자암호 통신망 구축∙운영 사업자 및 양자암호통신과 다양한 보안기술간 호환성 표준화 과제(ITU-T SG17) 수행자로 채택됐다.
SKB컨소시엄이 수주한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과제는 한국수력원자력·평화홀딩스·고려대학교 K-Bio센터·ADT캡스 등 7개 기관 9개 구간의 통신망에 양자암호통신을 구축하는 것이다. SKB컨소시엄은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과제를 최대 확보했다. SKB컨소시엄은 올해 원자력발전소 등 주요 핵심 산업시설에서 비상 통신망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데이터 및 개인 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양자암호통신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특히 민간 분야에서는 수소차 부품 설계 기술을 개발하는 평화홀딩스에 적용돼 수소차 핵심 기술을 보호하게 된다. 또 의료 분야에선 고려대 K-Bio센터에 적용돼 국내 첫 클라우드 기반 의료 시스템에서 양자암호 운용 성능을 검증하게 된다. 이와 함께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에선 자율로봇이 취득한 개인정보 데이터 보호에 활용된다. ADT캡스 통합관제센터에 보유 중인 경비영상 데이터 보호에도 적용돼 고객 정보 방어를 강화하게 된다.
또한 SK텔레콤은 NIA가 발주한 '초연결 지능형 연구개발망(KOREN)'의 이기종 양자암호 통신망도 구축∙운영한다. SK텔레콤은 이번에 'KOREN'망에 구축된 서로 다른 양자암호 통신망을 통합 관제할 수 있도록 양자암호통신망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Q-SDN) 제어기를 설치, 효율적인 통합 관제를 추진하게 된다.
특히 국가 시험망에서 처음으로 이기종 양자암호통신을 관제·운용한다는 점에서 이번 시도는 B2B 양자암호 확산의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Q-SDN 제어기를 통해 양자암호통신망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전문기관에 개방해 양자암호 관련 생태계 활성화도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SK텔레콤은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TSI)에서 제안했던 Q-SDN 제어기 관련 국제표준을 적용할 계획이다.
하민용 SK텔레콤 이노베이션스위트그룹장은 "보안이 최우선인 국가 주요 시설을 넘어서 산업·민간에 걸쳐 양자암호통신이 폭넓게 기여할 수 있게 된 점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양자암호의 저변을 넓혀 고객들이 안심하고 정보통신기술(ICT) 환경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SKT '플로' 5년만에 흑자전환...1Q 매출 577억원
- SKT 'K팝 메타버스'에 '스테이씨' 뜬다
- SKT-카카오VX, 메타버스 라이브 골프중계 '맞손'
- SKT 'PASS 모바일운전면허' T월드 매장 적용…"신분증 없이도 업무 처리 OK"
- SKT, 기업용 구독형 클라우드 네트워크 통합솔루션 선보인다
- 이사회가 대표이사 후보 추천하고 연봉도 결정...SKT, '이사회 중심 경영' 강화
- SKT "T다이렉트샵에서 디즈니 곰돌이 푸 에디션 만나보세요"
- '라이프 케어 플랫폼' ADT캡스, 통합 이후 첫 조직개편 실시
- SKT, 녹색금융으로 친환경 ICT 키운다…DBS그룹서 2000억원 차입
- SK브로드밴드, '사랑의 도시락' 배달 10월까지 연장
- 홍경표 KT 융합기술원장, 미래양자융합포럼 공동의장 선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