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가전과 TV 판매 호조로 역대 2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 역시 사상 처음으로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1조원을 돌파했다.
LG전자는 올 2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17조11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4%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조11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5% 늘었다.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4조9263억원, 2조8800억원으로 각각 역대 반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생활가전 매출 역대 분기 최대치 경신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 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6조8149억원, 영업이익 6536억원을 달성하며 실적을 이끌었다.
역대 분기 최대치를 갈아치운 2분기 매출액은 해외 전 지역에서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32.1%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확대와 효율적인 자원 운영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개선됐다.
LG전자는 "공간 인테리어 가전인 LG 오브제컬렉션의 꾸준한 인기가 H&A사업본부의 실적을 견인했다"며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생활의 편리함을 더하는 건조기, 식기세척기, 무선 청소기 등도 실적 호조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TV를 담당하는 HE사업본부는 매출액 4조 426억원, 영업이익 333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9.1%, 216.4% 증가한 수치다.
HE사업본부는 'LG 올레드 에보'를 포함한 프리미엄 TV의 판매 호조가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올레드 TV 판매가 큰 폭으로 늘어 전체 TV 매출 가운데 30% 이상을 차지했다. LCD 패널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가운데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비중이 늘면서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전장사업 매출 2배 이상 성장
LG전자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전장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8847억원, 영업손실 1032억원을 기록했다.
LG전자는 만년 적자사업이던 스마트폰 사업을 이달 말로 정리하고, 세계 3위 자동차 부품회사 캐나다 마그나사와 합작사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을 출범시켜 전장사업을 키우고 있다.
VS사업본부는 2분기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수요가 회복됨에 따라 주요 프로젝트의 공급과 전기차 부품 판매가 늘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다만 차량용 반도체 수급 이슈로 인해 부품 가격이 상승하는 등 일시적으로 비용이 증가해 영업손실은 전분기 대비 늘었다.
BS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6854억원, 영업이익 617억원을 거뒀다. PC, 모니터 등 IT제품의 판매 호조가 이어지고, 건설경기 회복세에 따라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제품의 수요가 다시 늘면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주요 부품 가격과 물류비의 인상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3분기 프리미엄 가전·TV 판매 호조 이어간다
LG전자는 하반기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경기가 회복될 거란 기대감과 함께,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우려와 각국의 통화정책 조정 가능성이 있어 불확실성이 상존한다고 전망했다.
이에 LG전자는 생활가전, TV 등 주력사업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기업간거래(B2B) 사업과 같은 육성사업의 성장을 가속화해 매출 확대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속적인 원가구조 개선은 물론 시장 변화에 맞춰 선제적이고 최적화된 운영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3분기에는 프리미엄 가전과 TV 판매가 늘고 자동차 부품 사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전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재 가격 인상에 대한 리스크가 여전하지만, 효율적인 자원 운영과 공급망 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생활가전은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고 원자재 가격, 물류비 등이 증가해 원가 인상에 대한 부담이 있다. H&A사업본부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및 제품별 맞춤형 판매 전략을 추진해 매출 성장세를 지속 유지할 계획이다. 영업이익은 원가구조 개선과 자원투입 최적화를 통해 전년 동기 수준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반도체 공급 안정화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VS사업본부는 글로벌 공급망 관리를 강화해 주요 부품을 확보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매출 극대화와 더불어 원가 절감을 지속해 수익성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