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부산까지 쏘카로 이동 급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카셰어링을 이용해 수도권 밖으로 이동한 장거리 이용자가 크게 늘었다.
모빌리티 혁신 플랫폼 쏘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전인 지난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쏘카 카셰어링 차량 정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쏘카 이용자들이 수도권에서 차를 빌려 부산까지 이동한 비율은 70% 가까이 급증했다. 장거리 이동의 경우 연료비 부담, 운전 피로도 등을 감안해 고속철도, 비행기로 이동한 뒤 차량을 대여하는 경우가 대다수지만, 대중교통에서 타인과 접촉할 가능성을 줄이고 안전한 이동을 경험하려는 이용자들의 니즈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밖으로 향하는 장거리 이동에 카셰어링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면서 2년 동안 쏘카 이용 건당 평균 차량 이용시간은 30%, 주행거리는 23% 늘어났다. 장시간, 장거리 이동 확대의 영향으로 올해 2분기 쏘카 카셰어링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4% 성장할 수 있었다.
정부가 수도권 지역을 우선으로 사적 모임이 허용되는 인원 수를 5명, 3명 미만으로 제한하면서 수도권 밖으로의 이동은 빠르게 늘어났던 것으로 집계됐다. 5인 이상 모임 금지가 처음 적용됐던 지난해 12월 23일, 3인 이상 모임 금지가 적용됐던 올해 7월 12일을 기준으로 직전 1주, 직후 1주 동안의 정차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이동 비율은 각각 9%, 12% 증가했다.
이종건 쏘카 데이터1그룹장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쏘카 차량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안심하고 휴식을 누릴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공통적인 방향성을 보이고 있다"며 "비대면으로 여행과 재미, 편안함을 모두 잡을 수 있는 종합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여행엔 쏘카"…첫 이용고객 주중 24시간 1만원에 탄다
- 쏘카, 제주대 캠퍼스에서 '초소형 전기차' 공유서비스 실증
- 열돌 쏘카, 700만명 태우고 16억Km 달렸다
- 카카오 이어 티맵도 뛰어든 대리운전 시장...'고객·운전기사' 확보 총력전
- "미리 예약하고 오래 타세요" 쏘카, 3달 전부터 최대 28일까지 예약 가능
- 현대자동차-카카오모빌리티, '스타리아 라운지 모빌리티' 출시
- '쏘카-타다' 멤버십 회원, 항공권 최대 10% 상시 할인한다
- 쏘카, 24시간 이상 예약하면 차량 배달비 '0원'
- 쏘카, 전기차 이용 데이터 공개…"전기차로 지구 800바퀴 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