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 시작되는 문재인 정부 마지막 국회 국정감사가 주요 플랫폼 기업들을 정조준한 ‘플랫폼 국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비판의 중심에 선 카카오를 필두로 네이버, 쿠팡, 구글 등 주요 플랫폼 기업인이 각 상임위원회마다 줄줄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다.
30일 국회와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정감사는 이른바 '플랫폼 국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플랫폼 독과점과 골목상권 침해 논란 등이 주요 화두로 떠오른 만큼 플랫폼 기업 주요 임원들이 국회 국정감사에 줄줄이 불려 나올 전망이다.
관련기사
- '공공의 적' 네이버-카카오 달래기 나선 과기정통부, 왜?
- [국감 2021 미리보기-통신] 통신3사 5G 품질-알뜰폰 자회사 쏠림 현상 집중 질의 전망
- 플랫폼 때리기에 뿔난 벤처·스타트업 "혁신성장 포기? 기업 길들이기 멈춰야"
- "플랫폼의 기여와 혁신 인정해줘야" 플랫폼 때리기에 제동 건 임혜숙 과기정통부
- 국감 앞두고 플랫폼 감싼 임혜숙 장관, 네이버-카카오도 책임 다할 것 '화답'(종합)
- [국감 2021 미리보기-플랫폼] 집중표적된 '네카오'...골목상권·조직문화 등 이슈 산적
- [국감 2021 미리보기-게임] '단골손님' 확률형 아이템, 또 도마 위로
- [국감 2021 미리보기-블록체인] 뜨거운 감자 '실명계좌'...국감서 실마리 찾을까
- 네이버, 창작자 위해 100억원 출연한다
- [카드뉴스] 국감 미리보기 블록체인편...'실명계좌' 논란, 국감서 실마리 찾나
- 과방위 국감에 나타난 '이재명 판교 대장동게이트' 피켓...여야 충돌에 '파행'
- [국감 2021] 임혜숙 과기정통부 "디지털 플랫폼 공정경쟁·혁신환경 조성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