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미닛 제공
/사진=디미닛 제공

러시아는 한반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주변국이지만, 일본과 중국 등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멀게 느껴지는 나라입니다. 하지만 러시아 인구는 세계 9위 수준으로, 러시아 시장은 우리나라 기업들에 있어 결코 놓칠 수 없는 시장이기도 합니다.

특히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를 놓고 경쟁하는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들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시장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삼성전자가 러시아에서 무려 61종의 스마트폰을 판매할 수 없을 수도 있는 위기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현지시간 22일, 러시아 모스크바 중재법원은 삼성전자에 61개 스마트폰 모델을 수입,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삼성전자가 자랑하는 기술 중 하나인 '삼성페이'가 스위스의 간편결제 시스템 개발기업 '스크윈SA'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기술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는 이유입니다.

스크윈SA는 지난 7월 삼성페이에 자사가 특허권을 가진 결제 서비스 기술이 무단 사용되었다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모스크바 중재법원은 전문가들의 검증 결과를 토대로 스크윈SA의 승소 판정을 내렸습니다. 스크윈SA는 자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과 러시아(2건), 미국(2건), 중국, 일본, 독일에 결제 서비스 기술에 관한 특허권을 가지고 있으며 국제특허 및 유럽, 인도, 미국에 특허를 출연 중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번 판결은 지난 7월 판결에서 모스크바 중재법원 측이 수입, 판매 금지 품목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스크윈SA가 항소를 제기한 데 따른 결과입니다. 이번에 모스크바 중재법원은 스크윈SA의 특허번호를 인용하며 삼성전자가 러시아에서 61개 삼성 모델을 판매할 수 없다고 나열했습니다. 금지된 품목 중에서는 신형 갤럭시Z폴드3 및 갤럭시Z플립3, 갤럭시J5와 같은 저가형 스마트폰 모델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1월에서 5월까지 러시아 시장에서 점유율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6월부터 중국의 샤오미에게 1위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샤오미의 점유율은 31.2%, 삼성전자는 29.8%의 근소한 차이였습니다. 이번 판결로 인해 삼성전자의 러시아 시장에서의 입지에 큰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아직 판결이 발효된 것은 아닙니다. 30일 이내로 삼성전자는 항소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판결에 대해 항소한 바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이번 위기를 이겨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