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공공데이터 활용 기술 및 서비스, 정책 발굴 협력
LG유플러스는 한국교통연구원과 자율주행기반모빌리티 서비스 실증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양측은 모빌리티 서비스를 실증하면서 축적된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자율주행 기술 및 서비스를 발전시키는 연구개발사업을 진행해 갈 계획이다. 또한 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정책을 발굴하여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에 이바지한다는 구상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의 공공데이터는 ▲차량이동 데이터(교통량/통행비용/도로 혼잡비용 등) ▲사람이동 데이터(시간대별 통행량/유동인구/지역별 통행시간 등) ▲대중교통 데이터(BIS 데이터, 노선단위 카드데이터 등) 등으로 구성된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올해 3월 국토교통부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 과제'를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수주해 오는 2026년까지 자율주행 공동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주영준 LG유플러스 차세대기술랩장은 "이번 협력으로 유플러스의 5세대(5G) 통신, 다이내믹맵과 한국교통연구원이 보유한 도로/교통 데이터의 시너지를 통해 자율주행 인프라 기술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눈송이 여러분! 이번 청파제는 메타버스에서 즐기세요~"
- U+로드 온라인 장터 개장...농수산 특산물 최대 51% 할인한다
- 미리보는 '11월 OTT 대전'...애플-디즈니-넷플릭스가 내세우는 강점은?
- LG유플러스, 국내 B2B 무선 통신 시장 키운다...파트너사와 '상생'의 길 간다
- 중소 B2B 파트너사도 '찐팬' 만든다...100억원 규모 상생 프로그램 가동하는 LG유플러스
- 'U+비즈마켓'서 상담받고 '카카오워크' 가입하면 이용료 최대 6개월 무료
- LG유플러스, 업무용 차량 1391대 ‘무공해차’로 바꾼다
- LG U+, 세종 국가시범도시 건설 현장에 '5G 스마트건설' 솔루션 적용
- 5G 가입자 1800만 돌파...알뜰폰 가입자도 연내 1000만 돌파 전망
- "콘텐츠 시청 대신 체험하세요"...LG유플러스, XR플랫폼 'U+다이브' 출시
- 공공데이터 개방 강조한 尹정부, 정작 활용도는 낮다?…"양보다 질에 집중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