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당근마켓 공식블로그
사진=당근마켓 공식블로그

 

당근마켓이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지역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진화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신뢰'에 기반한 서비스 개발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간편결제 서비스 '당근페이', 자체 딜리버리(배송) 서비스 '당근배송' 등은 다수 이용자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해소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이는 플랫폼의 '신뢰'를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다.

23일 증권가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리포트를 내고 당근마켓을 "한국의 독보적인 하이퍼로컬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명주 연구원은 "온라인 중고거래의 단점은 1)판매자·구매자·제품의 신뢰도 2)판매·구매시 발생하는 불편함"이라며 "당근마켓은 간편결제 서비스와 자체 딜리버리 서비스를 통해 거래의 불편함을 개선시키고 있다"고 했다.

1세대 중고거래 플랫폼 중고나라가 사기피해와 해킹 의혹 등으로 뭇매를 맞은 가운데 당근마켓은 시장의 니즈를 간파, 신뢰도를 쌓는데 주력했다는 것.   

또한 당근마켓은 최근 자체 간편결제 서비스 '당근페이'를 선보였다. 당근페이를 이용하면 거래를 위해 현금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당근 채팅 안에서 실시간 송금 및 확인이 가능하다. 더 이상 거리에서 계좌번호나 예금주 등의 개인 정보를 주고받거나 각자 별도의 은행 앱(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 이체 완료 내역을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당근마켓은 당근페이를 통해 이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개인정보 보호 등을 통해 거래의 신뢰도를 높이는 환경을 구축한 셈이다. 이 역시 이용자들의 사기피해를 줄이는 인프라가 됐다. 당근페이는 제주도를 시작으로 연내 전국 지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당근마켓은 '당근배송' 베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구매자가 물건 수령주소를 입력하면 당근맨이 판매자의 물품을 수령해 배송하는 서비스다. 김명주 연구원은 "자체 딜리버리 서비스를 통하여 거래의 불편함을 개선시키고 있다"며 "당근마켓의 동네 생활권 대상 서비스는 지역 주민의 편의성을 높여주고 소통을 장려한다"고 했다.

더불어 당근마켓은 당근채팅에서 바로 음성 통화가 가능한 '당근전화' 기능도 선보인 바 있다. 당근전화를 통한다면 개인 전화번호 노출 없이 거래 상대방과 실시간 음성 소통이 가능하다. 연락처와 주소지 등을 대신해 거래 상대방의 당근 아이디가 표시된다. 이 역시 이용자간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개인정보를 보호하며 신뢰도를 높였다.

이같은 노력을 통해 쌓은 이용자간 신뢰는 플랫폼 성장의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당근마켓이 지역 사회 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퍼로컬 플랫폼을 표방하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당근마켓은 기존 인터넷과 유통 플랫폼이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던 지역사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상공인 수익 증대에 기여한다"며 "향후 당근마켓을 포함한 하이퍼로컬 플랫폼의 기업가치 상승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