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호출'에서 '자율주행'까지 넘어온 모빌리티 경쟁
카카오, 자율주행차 호출, 승·하차 서비스 판교서 무료 시범 운행
쏘카, 국내 최장거리 자율주행 유상 운송 서비스 시작
전문가들 "기술적 성장 및 안전 문제, 사회적 합의, 규제 정비 등 필요"
최근 모빌리티 시장에서 자율주행 기술 경쟁이 뜨겁다. 카카오모빌리티와 쏘카 등 모빌리티 기업들이 택시 호출 서비스를 넘어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이끌 핵심 기술 실증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는 것. 하지만 상용화까지 가려면 '안전'과 '법적 규제' 등에서 넘어야 할 과제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판교-제주' 등 실증 지역 확대...자율주행 상용화 주도권 쥐기 경쟁
쏘카는 지난 15일 자율주행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와 손잡고 제주도에서 국내 최장거리 자율주행 유상 운송 서비스를 시작한다. 제주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까지 왕복 76㎞ 오가는 방식이다. 지난 10월에는 라이드플럭스와 '자유노선'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인 바 있다. 승객이 라이드플럭스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고 차량을 호출할 수 있다.
쏘카는 자율주행 서비스가 본격화되면 이용자들의 이동 수요 증감에 맞춰 유동적으로 차량을 배치,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수요가 적은 시간에 세차, 정비, 충전 등을 진행해 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재욱 쏘카 대표는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키워드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이기 때문에 관련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이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갈 것"이라며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하며 이동이 필요한 모든 순간에 누구나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스트리밍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3일 카카오모빌리티는 판교에서 자율주행 전용 서비스를 '카카오 T'를 통해 무료 시범 운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운행 자율주행차는 카카오모빌리티 자체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로, 승객이 직접 자율주행차를 호출하고 승·하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9월까지 카카오모빌리티가 세종시에서 유료로 운영하던 '자율주행 셔틀'은 현재 서비스 업데이트 이유로 지난 9월 서비스가 종료된 상태다.
카카오 모빌리티 측은 이번 시범 운행이 자율주행 '서비스운영 퀄리티 확보' 및 '이용자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정식 서비스 시행 일정은 시범운행 기간 동안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용자 의견을 수렴해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자율주행차 상용화되기까지...풀어야 할 과제는?
현재 자율주행차를 크게 0~5단계로 나눴을 때, 운전자가 전혀 필요하지 않은 단계를 레벨5 수준의 완전 자율주행이라고 부른다. 현재 자율주행 선두 기업에 속하는 테슬라가 자율주행 레벨 2.5~3으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 자율주행 기술 수준은 이보다 떨어지지만, 정부가 오는 2025년을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점으로 선택한만큼 레발4 수준의 기술 개발도 차차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상용화 기대만큼 과제도 만만치 않다.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주는 대신, '안전' 문제를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가 가장 큰 화두다. 완벽한 안전 기술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사고는 기업의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중할 수 밖에 없다.
이밖에 자율주행차를 위협하는 요인으로는 '해킹'도 꼽힌다. 자율주행차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개인정보 등을 공격받았을 경우, 각종 범죄에도 악용될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고유한 암호 사용 ▲멀티플 네트워크 사용 ▲높은 보안 우선순위 유지 ▲필요할 때만 GPS 활성화 등 보안에 더욱 공을 들여야 된다고 말한다.
차두원모빌리티연구소의 차두원 소장은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은 인공지능(AI), 센서, 비용, 사회적 수용성, 해킹의 한계 등이 있다"며 "자율주행차는 한번 사고가 나면 사망 사고까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초기 더욱 꼼꼼하게 보수적인 테스트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차소장은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기존에 수동 차량에 맞춰져있는 모든 법과 표준들을 자율주행에 맞게 바꿔야 하지만 한번에 엎을 수는 없다"며 "주행 환경 등의 특성에 맞게 검증하고, 규제를 적용해야 하는데 이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내다봤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라스트 1마일'을 잡아라...카카오-티맵-쏘카의 이유있는 '주차장' 전쟁
- "판교서 자율주행차 타보세요~"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 전용 서비스 시범 운행
- 삼성전자의 새 먹거리는 '로봇'
- 네이버·카카오 '헬스케어' 불꽃경쟁...진행과정 들여다보니
- "식당에서 현관까지 로봇이 배달" 배민, 광교 앨리웨이서 D2D 배달로봇 서비스 시작
- 쏘카, 공유 전기자전거 '일레클' 인수...'슈퍼앱' 전략 본격화
- 카카오모빌리티, 청각장애인·여성·청년 등 '착한 일자리' 1000개 만든다
- [타봤다] "혼자 주행하고 유턴까지 척척" 카카오 T 자율주행 시범차량 '탈만하네'
- "예약한 쏘카 차량 쉽고 빠르게 찾는다" 쏘카, 차량위치안내 베타 서비스 시작
- "우린 택시회사 아니야" 카카오모빌리티, 첫 테크 콘퍼런스 'NEMO 2022' 열고 기술력 과시
- 전국 쏘카존·쏘카스테이션에 시그넷이브이 충전기 공급 확대
- 롯데렌탈, 쏘카 3대 주주 오른다...지분 13.9% 인수
- 쏘카에서 현대 '캐스퍼' 2시간 무료 시승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