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3년 약정 기간 세분화, 다양한 유·무선 결합상품 요금제 출시
SK텔레콤 '온가족플랜', KT '총액 결합할인', LG U+ 'U+투게더'
휴대폰 회선 수에 따라 할인...가족 한명에게 몰아줄 수도 있어
통신 요금을 아끼기 위해 '결합할인' 서비스에 가입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5세대(5G) 이동통신 출시 이후 통신요금이 갈수록 비싸지는 추세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직접 결합할인 상품을 찾기에는 각 통신사별로 할인구조를 파악하는게 쉽지 않다. 각 통신사에 문의를 할 때마다 혜택 및 조건도 달라지고, 통신사별로 결합상품 및 결합할인을 비교해 봤을 때 무엇이 다른지 한눈에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테크M은 통신3사가 운영하는 결합상품 요금제도를 직접 비교해봤다.
통신 3사 결합 상품 가격 비교해보니...최대 5회선까지 가능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각각 유·무선 결합상품과 가입 요금제에 따라 다른 결합할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SK텔레콤 '온가족플랜', KT '총액 결합할인', LG U+ '한방에 홈2', 'U+투게더' 등이 있다.
우선 결합가능한 무선 회선 수를 보면 SK텔레콤과 KT는 최대 5개, LG유플러스는 최대 3개가 기본이다. 하지만, 올해 초 LG유플러스가 가족관계가 아닌 친구, 지인, 타인과도 최대 5인까지 결합해 할인받을 수 있는 5G·LTE '지인결합 상품'을 출시하면서 3사 모두 최대 결합 가능한 무선회선이 5개로 동일해졌다.
하지만 구체적인 할인 방식은 각 통신사별로 다르다. SK텔레콤 '온가족플랜'은 가족이 보유한 모바일 기기 회선 수를 기준으로 이동전화와 인터넷을 동시에 할인해준다. 모바일 할인액은 가족 한사람에게 몰아주거나, 각 구성원이 골고루 할인받을 수 있도록 했다.
KT '총액 결합할인'은 가족 간 휴대폰 총 할인금액을 확인하고 5000원은 인터넷에서 정액 할인 받은 후, 나머지 할인액은 휴대폰 월정액 기여도에 따라 나누는 구조다. 예를 들어, 기가인터넷과 모바일 2회선 ('5G 슬림', '5G 슈퍼플랜 스페셜 Plus')을 이용하는 가구는 총액이 월정액 두 개를 더한 15만5000원이 되고, 총 할인금액은 2만7610원으로 산정된다. 이때 모바일 5G 슈퍼플랜 스페셜 Plus를 이용하는 고객이 총액에 기여를 더 많이 하였으므로 할인도 더 많이 받게 되는 구조인 셈이다.
특히 KT 총액 결합할인의 월정액 기여도는 정지일수와 요금제 변경, 결합 상태 등을 모두 고려해 일할 계산되며, 총액에서 모바일의 월정액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모바일 월정액 기여도를 산정한다. 5G와 LTE, 3G 구분없이 휴대폰 최대 5대 결합이 가능하며 약정 기간에 따라 할인액 규모가 달라진다.
LG유플러스 '한방에Home 2'의 경우, 결합 가족 수만큼 인터넷과 휴대폰 요금이 할인되는 서비스다. 휴대폰 할인은 가족 구성원별로 받거나, 한명이 전액 할인 받는 방법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결합과 관계 없이 '무무선' 결합 상품인 'U+투게더' 이용 시 모바일 요금 할인액은 결합 규모별로 늘어난다.
"가족 요금 합산 할인, 1인 몰아주기까지" 통신사별로 달라
구체적으로 SK텔레콤 '온가족플랜'은 가족 중 한 명이 월정액 4만7000원 이상 데이터 요금제를 사용하면 가족이 보유한 모바일 회선 수(2~5회선)와 인터넷 상품 종류에 따라 월 1만1110~3만8610원(부가세 포함)을 할인해준다.
KT는 가족의 모바일 요금 총액이 6만4900원~17만4900원 이상이면 프리미엄급 인터넷, 에센스·베이직 인터넷 요금 1만1000원~3만3110원 할인과 모바일 요금 5500~2만7610원을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단, 이는 3년 약정 기준이다. 1년 약정 경우 이의 1/4, 2년 약정 시 1/2의 할인액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기가인터넷에 모바일 3회선을 결합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3회선 중 월 6만5890원 이상 요금제를 쓰는 1회선을 포함해 인터넷 1만1000원 할인과 모바일 1만4355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할인 금액 합계는 최대 2만5355원이다. 이밖에 'U+투게더'는 2인 결합 시 각 1만원에서 4~5인은 각 2만원까지 할인 효과가 발생한다. 선택약정과 'LTE 요금 그대로 약정(프로모션)' 할인을 더하면 8만원대 5G 무제한 요금제를 월 3만원까지 할인받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각 통신사 홈페이지에 직접 방문하는 것보다 '인터넷비교사이트'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다. 인터넷비교사이트는 한곳에서 인터넷 및 TV 통신사별 유선통신 결합상품의 월요금과 사은품, 핸드폰 결합할인 금액 등을 소비자가 눈으로 직접 비교·가입할 수 있는게 특징이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개인 선택권 늘린다" 통신사 멤버십 개편 '활발'
- "5G 중간요금제는 언제?" 2000만 5G 시대, 소비자 속 터진다
- 정부, e심 활성화 소매 걷었다...내년 9월 1일부터 시행
- [테크M 연말결산] 탈통신 속 '통신' 중요성 부각된 2021년...상용화 3년차에도 여전한 5G 논란
- [카드뉴스] 테크M 연말결산 ②본업 '통신' 없이는 탈통신도 없다
- "메타버스부터 홈파티까지" 통신3사, MZ세대 타깃 이색 크리스마스 마케팅 '눈길'
- "대체육부터 다회용 컵까지" SK텔레콤, 사옥 활용한 다채로운 ESG 활동 전개한다
- "연말연시에도 통신 품질 걱정마세요" 통신3사, 트래픽 급증 대비 특별소통대책 시행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과학기술훈장 수훈
- 통신3사, 28㎓ 5G 기지국 구축 이행률 0.7%에 그쳐...연내 4만5000대 목표 사실상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