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25일 발생한 KT의 전국 유·무선 통신 장애가 되풀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의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 태스크포스(TF)에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내놨다. 구체적인 정책 추진 과제는 ▲통신재난 예방, 대응 강화 ▲재난 발생 시 네트워크 생존성 확보 역량 강화 ▲재난발생 이후 네트워크장애 복원력 제고 ▲네트워크 안정성 제고 제도 개선 등이 있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지난 10월 발생한 KT 유무선 네트워크 사고에 대한 후속대책으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발표했다.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은 주요통신사업자와 유관기관, 전문가 등이 참여한 산학연 중심의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 TF를 구성, 총 8회의 회의 및 외부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마련됐다.
인재(人災)였던 KT 네트워크 장애..."작업 시간만 허용토록 중앙통제 강화"
우선 정부는 통신재난 예방, 대응 강화를 위해 작업의 시스템적 통제를 강화하고, 네트워크 안전관리의 지능화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모의시험체계를 활용한 사전검증을 코어망 전체 작업으로 확대하고, 승인된 작업자, 장비, 작업시간만 허용토록 작업관리 중앙통제를 강화하고, 통제 우회작업은 제한할 계획이다. 이상감지 시스템 구축도 검토한다.
네트워크 안전관리를 위한 중장기 기술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인공지능(AI)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문제를 자동으로 예측, 관제센터에 알려주고, 소프트웨어 기반(SDN)으로 네트워크도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기간통신망의 사전 시험검증이 가능하도록 실제 통신망과 유사한 '디지털트윈'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네트워크 생존성 확보 역량 강화 방안으로는 주요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할 계획이다. 코어망 계층간 오류확산 안전장치(필터링 등)를 마련하고, 가입자망의 라우팅을 독립적인 자율시스템으로 구성하거나, 자동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지 않는 정적(스태틱) 라우팅을 사용하여 지역별로 분리할 계획이다.
SNS로 지체 없이 장애 고지, 공용 와이파이 개방한다
또 유선망 장애가 무선망 인터넷 장애로 이어지지 않도록, 무선망에서도 자사 유선망 외 재난 시 활용 가능한 인터넷 접속경로를 확보하는 유무선 접속경로 이중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밖에 굴착공사로 인한 케이블단선, 정전, 화재, 지진 등 다양한 장애유형에 대한 대비도 강화한다. 아울러 통신사들이 자체적으로 복원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통신사간 백업체계 단계적 확대 ▲재난 로밍 규모 1.5배 확대 추진 ▲통신재난 위기경보 '경계' 발령 시 공공, 상용 와이파이 개방 ▲소상공인 보호 위한 백업 서비스 등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이용자가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문자메시지(SMS) 또는 SNS(카카오톡, 라인 등)를 통해 지체 없이 장애를 고지하는 제도도 개선한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알 권리 보장과 통신사의 네트워크 안정성에 대한 투자유도를 위해 통신사의 관리적, 기술적 이행실적, 안정성 시험결과 등을 포함한 '네트워크 안정성 조치현황 연차보고서(가칭)' 공개를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측은 "기간네트워크가 신뢰성와 안정성을 갖춰 향후 디지털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내부, 외부 요인에 의한 네트워크 장애를 예방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책을 철저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