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학회가 최근 붉어진 '옷 벗기기' 게임 청소년 이용가 논란에 구글과 게임물관리위원회를 비판했다.
한국게임학회는 성명서를 통해 '와이푸-옷을 벗기다'가 청소년 이용가로 분류돼 구글플레이 1위에 오른 것에 대해 구글과 게임위의 무능과 무책임을 개탄한다고 6일 밝혔다.
와이푸는 이용자가 여성 캐릭터와 가위바위보를 해 이기면 여성 캐릭터의 옷이 하나씩 사라지는 게임이다. 이 게임의 목표는 최대한 많은 여성 캐릭터를 벗기고 수집하는 것이다. 싱가포르 게임 개발사 '팔콘 글로벌'이 출시한 게임으로 누적 다운로드 수 100만건을 넘기며 구글 플레이 1위에 올랐다. 문제는 이 게임이 15세 청소년 이용가로 분류돼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게임학회는 "이런 게임이 어떻게 중고교생이 이용할 수 있는 15세 청소년 이용가로 되었는지 경악스러울 뿐"이라며 "더 심각한 문제는 이번 선정성 논란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2020년 국내 게임사 아이엔브이게임즈가 출시한 게임 '아이들 프린세스'에서도 마찬가지로 선정성 논란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특히 학회는 이번 사태가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나아가 메타버스라는 가상세계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고 전했다.
또한 게임학회는 "이번 사태는 구글이 자체등급분류 기관으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문제가 터진 후에도 구글이 와이푸 앱을 차단하지 않고 기존 이용자들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숨김 처리한 것도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구글이 자체심의 기준 공개를 거부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차제에 구글은 자체 심의 기준이 무엇인지 전면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게임위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이번 사태는 게임위의 게임등급분류 및 관리기관으로서의 자질을 의심케 만들었다는 것이다. 게임학회는 "게임위는 예산과 인력의 한계를 이유로 구글, 애플과 같은 플랫폼 기업에 심의를 위탁하는 자체등급분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 제도의 운영능력은 물론 사후 관리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등급부여 게임에서도 게임 내 이벤트나 수시 업데이트 과정에서 게임위를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 학회장은 "게임의 선정성 논란이 재발하고 있는 것에 대해 위기의식을 느낀다"며 "코로나를 거치면서 게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확률형아이템 같은 사행성이나 이번과 같은 선정성 논란에 휩싸인다면 게임은 다시 국민적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구글의 심의 기준 정보에 대한 공개 거부와 게임위의 무능함은 비판받아 마땅하며, 이런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해당 기업에 대한 제재와 입법 활동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