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부산대학교와 5세대(5G) 스마트캠퍼스를 조성한다고 23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부산대학교 부산∙양산∙밀양∙아미 4개 캠퍼스에 차세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통합 정보보안 솔루션, 통합 관제 시스템 등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구축을 완료했다.
양측은 향후 5년간 ▲5G∙클라우드 연계 서비스 제공 ▲메타버스 기반 캠퍼스 라이프 환경 구축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안전케어 시스템 구축 등 5G∙클라우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미래교육 모델 실증을 진행하고 스마트캠퍼스를 조성하기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5G∙클라우드 연계 서비스는 스마트폰∙노트북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교내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우드 시스템', 고화질 영상을 끊김 없이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원격수업' 등이 있다. 특히 원격수업 솔루션은 얼굴인식이 가능해 실시간 집중도 확인, 토의 수업 등 다양한 맞춤형 기능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메타버스 기반 캠퍼스 환경을 구축해 오리엔테이션, 입학∙졸업식, 원격강의, 동아리, 축제 등 입학부터 졸업까지 대학생활 전반에 걸쳐 비대면 편의시설을 제공할 예정이다. 나아가 학생들의 행사 참여도, 몰입도 증진을 위한 서비스 발굴에도 협력한다.
IoT 센서와 디바이스를 활용해 캠퍼스 내 잠재적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스마트 안전 케어 시스템도 운영한다. 건물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는 물론 향후 해당 데이터를 이용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권근섭 LG유플러스 담당은 "국가 거점 국립대학교인 부산대학교가 중점 추진하고 있는 5G기반 스마트캠퍼스 인프라 구축에 당사의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향후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미래교육을 선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경영 기자 management@techm.kr
관련기사
- [컨콜] 이유 있는 콘텐츠 전문가 외부 수혈...LGU+ "팬덤 커뮤니티 장착, 하반기 성과 창출 기대"
- [컨콜] LGU+ "5G 주파수 추가 할당...도농 간 차별 없이 전국 동등한 5G 품질 가능"
- 올해도 '찐팬' 만들기 앞세우는 LGU+, '5G-신사업'으로 성장세 이어간다(종합)
- 황현식 LGU+ "SK텔레콤이 뒤늦게 요청한 주파수 대역, 병합 논의 바람직하지 않아"
- 통신3사, 나란히 MWC 출격...SKT '메타버스' KT '디지코' LGU+ '5G'
- LG U+, 과거 상품 및 판매 예정 상품 정보 제공하는 '한눈에쇼핑' 출시
- LG유플러스-농협중앙회, 디지털농업 확산 업무협약 '맞손'
- LG유플러스, MWC 2022에서 영화-아이돌 공연 등 XR 콘텐츠 선보인다
- LG U+, 열 두번째 '두드림 U+요술통장' 발대식 개최
- '5G 단독모드' 놓고 SKT-KT 경쟁...차별화 포인트 '5G-LTE 혼합' vs. '오직 5G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