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미닛 제공
/사진=디미닛 제공

약 120년전 멸종한 토종쥐 복원을 시도했지만, 5%가 부족해 완벽 복원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널 발행사 셀 프레스(Cell Press)와 AFP통신 등에 따르면 덴마크 코펜하겐대학의 톰 길버트 교수 연구팀은 최근 '매클리어쥐(Rattus macleari)' 복원 연구 결과를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매클리어쥐는 인도양 크리스마스 섬 고유의 쥐입니다. 약 120년 전인 1900년경 유럽 선박을 타고 들어온 쥐가 병원균을 옮기면서 멸종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멸종 동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전자가 파편화돼 있어 복원에 필요한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하지만 매클리어쥐는 근연종(같은 절로 분류되는 종) 노르웨이 갈색 쥐와 종분화된지 얼마 안 돼 게놈(유전체) 95%를 공유하고 있었습니다.

톰 길버트 교수 연구팀은 매클리어쥐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노르웨이 갈색 쥐의 것과 비교했습니다. 차이가 있는 곳은 유전자가위 기술(CRISPR)로 편집해 똑같이 만들고 배아를 만들어 대리모에게 착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복원된 쥐는 매클리어쥐와 95%만 같을 뿐 후각, 면역 등 나머지 5%는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4000년전 멸종한 매머드를 복원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습니다. 길버트 교수는 "동물원에 털 달린 코끼리를 넣어 매머드를 복원했다며 돈을 모으거나 동물보호 인식을 높이는 것은 문제 될 게 없다"면서도 "멸종한 동물을 완벽하게 복원하는 게 목표라면 그런 일은 일어날 수 없다"고 했습니다. 또 "복원하는 것과 현재 남은 것을 보호하는 것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보호하는 것에 투자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지난해 9월 매머드를 복제하는 프로젝트가 미국에서 착수됐습니다. 매머드 복원 연구를 진행하는 유전공학 기업 컬라슬이 1500만달러(약 184억8000만원)를 투자 받아 출범한 것입니다. 컬라슬 역시 매머드 잔해에서 추출한 DNA는 염기서열 공백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에 아시아 코끼리 피부 세포를 활용해 아시아 코끼리와 매머드의 혼종을 복원할 계획입니다.

멸종 동물의 복원과 관련해 향후 어떠한 혁신적인 기술과 연구결과가 발표될지 무척 기다려집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