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전자 제공
/사진=삼성전자 제공

 

"한미가 기술동맹을 통해 앞으로 더욱 더 발전할 것으로 생각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일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경기도 평택 소재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평택 캠퍼스'를 시찰한 뒤 가진 연설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은 5세대(5G) 통신과 나노기술 등 많은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며 "한국처럼 삼성 같은 기업을 가진 나라에서 기술혁신이 활발히 전개되고, 양국이 경제안보 협력을 위해 노력할 때 앞으로 더 많은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 첫 일정으로 삼성 반도체 공장을 방문한 것은 격해지는 글로벌 공급망 경쟁 속에서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미 경제안보동맹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바이든 대통령의 방문은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한미 관계가 첨단기술과 공급망 협력에 기반한 경제안보동맹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 사진=삼성전자

양국 정상이 찾은 삼성 평택 공장은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기지로, 메모리 반도체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제품을 생산한다. 현재 평택 1라인(P1)과 2라인(P2)이 가동 중이며, 3라인은 공사가 진행 중이다. 두 정상은 1라인과 3라인을 찾아 반도체 공정과 시제품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삼성전자는 조만간 세계 최초로 양산 예정인 차세대 GAA(Gate-All-Around) 기반 3나노 반도체 시제품을 선보였고, 두 정상은 방명록 대신 이 반도체 웨이퍼에 서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총 170억달러(약 20조원)를 투자해 신규 파운드리 공장을 설립하는 계획을 발표했고, 조만간 착공을 앞둔 상태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테일러시에서 세계 최고의 반도체들이 생산될 것으로 믿으며, 이 투자를 통해 텍사스에 3천개의 새로운 첨단 일자리가 생기고, 삼성이 이미 미국에서 창출한 일자리 2만개에 더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환영 행사에서 "삼성은 25년 전에 미국에서 반도체를 만든 최초의 글로벌 기업"이라며 "이런 우정을 존중하고 소중하게 생각하며 계속 발전시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