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 애리조나주 반도체 투자액을 3배 이상 늘렸습니다.
현지시간 6일 CNBC에 따르면, TSMC는 이날 기존 120억달러(약 15조8000억원) 규모의 미국 애리조나주 투자를 400억달러로 확대한다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동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외국기업 투자입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미국 정부의 투자 유치 활동이 2년 7개월 만에 결실을 맺었다"며 "미국은 자국 내 반도체 조달력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대(對)중국 견제 전략에서도 한 발 내딛었다"고 평가했습니다.
TSMC는 이번 대규모 투자로 애리조나주에 두 개의 공장을 건설합니다. 이날 기공식을 진행한 반도체 1공장에서는 2024년부터 4나노미터(nm·10억분의1m) 반도체를 생산합니다. 앞서 5나노미터 공정의 반도체를 생산하려고 했지만 계획을 변경한 것입니다. 또한 2026년부터 가동될 2공장에서는 3나노미터 반도체가 생산될 예정입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TSMC의 투자에 대한 흥분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금까지 애플은 모든 칩을 해외에서 구매해야 했다"며 "이제는 더 많은 공급망을 미국으로 가지고 올 수 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습니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의 로니 채터지 부국장대행 역시 "미국은 더 이상 반도체 공급 문제로 다른 국가에 의존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미국의 여러 빅테크 기업들도 함께 했습니다. 특히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많은 사람의 노력으로 이제 반도체에 '메이드 인 아메리카'가 찍히게 됐다"며 "애플은 향후 TSMC의 애리조나 공장에서 생산된 반도체만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그는 "TSMC가 미국에서 새롭고, 깊은 뿌리를 내리고 있는 만큼 협력관계의 확대를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이 외에도 리사 수 AMD CEO는 "AMD가 TSMC 애리조나 공장의 주요 고객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TSMC의 대규모 투자가 실제 미국 반도체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애플, TSMC 가격 인상안 거부...동맹에 균열 생기나
- [글로벌] TSMC, 3분기 매출 27조원...삼성 누르고 업계 1위 오르나
- [글로벌] TSMC, 3나노 양산 '또' 연기...삼성과 기술 격차 더 벌어진다
- [글로벌] TSMC, 日 반도체 시설 확충 검토 중...첨단 반도체 생산하나
- [글로벌] TSMC, 美 수출 규제 준비하나...中 기업 위탁생산 중단
- [글로벌] 해외 투자 늘리던 TSMC...'반도체 탈대만' 우려 해소한다
- [글로벌] '나 홀로 성장' TSMC도 먹구름...올 1분기 매출 감소 전망
- [글로벌] 2분기 연속 업계 1위 지켜낸 TSMC지만...'반도체 한파'는 마찬가지
- [글로벌] TSMC, 독일과 보조금 논의 중...獨 "EU 회원국 분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