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은 폐쇄망으로 구성된 운영기술(OT) 환경 내 자산에 대한 가시성 확보와 보안 관리를 제공하는 대형 제조장비 전용 보안 솔루션 '안랩 EPS 릴레이'(AhnLab EPS Relay)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OT 환경의 대형 제조 장비는 일반적으로 외부 통신이 가능한 메인 PC와 외부통신이 불가능한 다수 PC로 구성된 '독립 폐쇄망' 형태로 운영된다. 기존 OT 보안 솔루션은 주로 네트워크 패킷이나 프로토콜 기반으로 자산을 식별하기 때문에 이러한 독립 폐쇄망 내에 위치한 자산(PC)의 보안현황 파악이나 일괄적인 보안정책 적용 등이 어려웠다.
안랩이 이번에 출시한 '안랩 EPS 릴레이'는 고객사가 기존 사용중인 '안랩 EPS'의 관리 서버와 폐쇄망 내 위치한 자산을 연결해 그동안 파악이 어려웠던 폐쇄망 OT 환경 내 자산에 대한 가시성과 보안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안랩 EPS 릴레이는 외부 통신이 불가한 자산(PC)에 설치되어 정보를 식별하는 'EPS 릴레이 클라이언트'와 메인 PC에 설치돼 안랩 EPS 관리서버와 EPS 릴레이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을 중계해주는 'EPS 릴레이 서버'로 구성돼 있다.
안랩 EPS 릴레이는 폐쇄망 내 위치한 다수 대형 자산에 대한 식별과 해당 자산에 미인가 애플리케이션 차단·매체제어·보안 정책 설정과 같은 안랩 EPS의 주요 보안기능 일괄 적용 등의 가시성 및 보안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 장비의 가용성을 고려하면서도 관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네트워크 대역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을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네트워크 최대 가용모드'도 지원한다.
안랩 EPS 릴레이를 이용하면 네트워크 패킷이나 프로토콜에 기반해 자산을 파악하는 기존 OT 보안 솔루션으로는 확인이 어려웠던 독립 폐쇄망 내 자산의 수량과 종류 식별, 보안 현황 등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가시성 확보가 가능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보안 담당자는 별도 관리화면 접속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안랩 EPS의 웹 콘솔로 안랩 EPS 릴레이가 파악한 자산의 연결 상태, 운영체제 및 하드웨어 정보, 위협 탐지 로그 등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식별한 정보를 바탕으로 폐쇄망 내 자산에 대한 보안 정책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 장비 내에서도 개별 정책설정 및 그룹 분리 관리가 가능해 각 자산 별로 안랩 EPS가 제공하는 다양한 보안기능을 각기 설정할 수 있다. 특수목적시스템 전용 악성코드 대응 솔루션 '안랩 Xcanner'를 연동하면 원격으로 악성코드를 검사하고 치료하는 등 폐쇄망 자산에 대한 보안관리 및 조치를 더 강화할 수 있다.
김창희 안랩 제품서비스기획팀장은 "안랩 EPS 릴레이는 주로 폐쇄망 형태인 OT 환경의 특성상 자산 가시성 확보나 보안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온 고객의 의견을 반영해 출시한 제품"이라며 "이번 제품 출시로 대형 제조장비를 운영하고 있는 고객사들이 OT 환경의 보안성과 안정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안랩, 모바일 금융 보안 지킨다…'안랩 트랜잭션 시큐리티 센터' 출시
- 보안업계 'ESG 경영' 선도하는 안랩…서스틴베스트 최고등급 2년 연속 획득
- 안랩, 대출 비교 플랫폼 '핀다'에 보안 특화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
- "해외 대학생, 청소년들도 안랩 사옥 랜선투어 신청하세요"
- 안랩-페스카로, 자동차 사이버보안·SW 사업 '맞손'
- 안랩, '리사이클링 캠페인'으로 모은 도서 2000여권 기부
- "공급망 공격, 모바일로 확산" 안랩, 2023년 5대 사이버 보안위협 전망 발표
- 안랩, 컴플라이언스 준수 위한 관리 체계 강화…임직원 대상 교육 나서
- [신년사] 강석균 안랩 "차세대 보안 기술 발전시켜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안랩 2023년 임원 승진인사...위협대응 조직 'ACSC'부터 경영·솔루션 컨설팅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