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새해 미래 신산업을 위한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K-디지털' 혁신에 나선다.
30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23년 신년사를 통해 "주요국간 기술패권 경쟁, 디지털 혁명으로서의 4차 산업혁명 등 기술 대변혁기를 맞아,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며 "작년에 기틀을 마련한 새정부의 과학기술·디지털 정책방향을 본격 추진함으로써, 국민들이 체감하는 성과를 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선택과 집중의 전략적 R&D 투자를 확대하고, 민관 협업의 임무중심형 R&D 프로젝트를 착수하는 등 국가전략기술 확보에 모든 국가적 역량을 총결집하겠다"며 "누리호 3차 발사, 차세대 발사체 개발과 함께 우주 산업 생태계를 본격적으로 조성하고, 양자, 바이오, 탄소중립, 6G, 메타버스·블록체인 등의 미래 먹거리 신기술을 조기에 확보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또 "국가대표 AI 프로젝트를 통한 민생·사회문제 해결,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과 스마트 국회 구축 등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혁신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대통령이 뉴욕 구상에서 선언한 디지털 신질서를 주도해 우수한 K-디지털의 글로벌 확산을 지원하는 한편, 국민 모두가 안정적으로 디지털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디지털 안심·포용사회를 구현하겠다"고 했다.
이와 더불어 이 장관은 미래 성장을 이끌 핵심인재 육성·확보와 과학기술 및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지역 혁신도 과기정통부의 내년 과제로 꼽았다.
이 장관은 "코로나 위기가 가져온 기술대변혁의 시대에는 어느 국가가 과학기술과 디지털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발전시키는지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좌우된다"며 "2023년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실현'을 통해 대한민국의 도약을 반드시 이끌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