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리저브'를 천명한 라인 블록체인이 중앙화 우려에 대해 "독점 형태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내놔 주목된다.
12일 라인 블록체인의 운영사 라인테크플러스(LTP) 측은 "리저브 제로에도 불구하고 그 어느 때보다 많은 팀과 협력하고 있다"며 "도시는 이미 지난 10일간, 30만명 이상의 글로벌 지갑 유저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또한 파트너사 확보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다"며 자신감을 피력했다.
해당 관계자는 "토큰 이코노미 2.0에서 시스템 인플레이션 15% 중 12%는 링크 수요와 가치를 위한 사후 보상, 3%는 운영비를 포함한 생태계 조성비로 사용된다"며 "링크가 가치를 갖는다면 운영비 및 생태계 조성비 측면에서 3%도 충분하다"고 부연했다.
또한 생태계 중앙화 우려에 대해선 "라인을 포함한 벨리데이터들도 시장에서 확보한 링크로 벨리데이터에 참가해야한다"며 "특정 기업이 출자를 통해 거버넌스를 독점하는 형태가 아니다"라고 항변했다.
앞서 라인 측은 지난해 12월, 코인 예비 물량을 발행하지 않는 '제로 리저브' 전략을 공식화했다. 현재까지 유통된 673만4458링크(LN) 이후로 추가 링크는 블록 생성 외 파트너십 등에 따른 신규 발행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라인-카카오 블록체인은 지금 업그레이드 중...2023년 '정조준'
- 코인 팔아 투자하는 일 절대 없다...라인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2.0 공개
- 컴투스홀딩스 엑스플라, FTX 사태 관련 투자자 지원 방안 마련
- [크립토 주간 브리핑] '폭락 vs. 반등' 엇갈리는 시장 전망...홀로 40% 상승한 '링크'
- 80% 급등한 라인 블록체인 '링크'...'제로 리저브' 업계 기준될까
- 최수연 네이버 대표, 포시마크 직원들과 상견례…"원팀 시너지 기대"
- 제페토의 '신라면 분식점'이 현실로...메타버스 속 공간이 밖으로 나온 이유는?
- [크립토 브리핑] 인플레이션 정점 찍었나...비트코인 연일 상승세
- 이석우 DAXA 의장 "디지털자산 자율규제 기반 마련, 투자자보호 강화할 것"
- 2023년 로드맵 공개한 '라인 블록체인'...퍼블릭 체인 운영부터 상장까지 '박차'
- 라인이 꼽은 블록체인 대중화 열쇠...'아바타 메타버스·게임·팬덤'
- '제로 리저브' 주인공 라인, 웹3.0 대중화 시장 노린다...관계사 적극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