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텔레콤 제공
/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사이버위협대응팀'을 신설하고 스팸·스미싱 등 고객 사기 피해를 차단한다고 19일 밝혔다.

SKT에 따르면 지난해 차단한 스팸 문자는 6억5000건에 달한다. 보이스피싱 전화 또한 10만4990건으로 전년대비 3.2배 증가했다. SKT는 이번 설연휴 기간에도 이같은 사기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며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최근 경기 침체와 고금리로 인해 대출이 필요한 가장 등 40~50대를 타겟으로 한 대출사기형 피해사례 및 검찰·금감원 등 정부 기관을 사칭한 공격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SKT는 고도화·지능화되는 보이스피싱과 스팸 메시지 및 스미싱 범죄 사전 차단에 나서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2021년 3월부터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 통화 발신을 차단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기반 스팸·스미싱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도 운용하고 있다.이를 통해 약 846억원에 달하는 사기 피해를 예방했다.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해 SKT는 지난해 단행한 조직개편에서 위협 대응 전담 조직 사이버위협대응팀을 신설했다. 이 팀은 기존 보안 위협 영역을 넘어 신종 수법 기반 스팸·스미싱, 보이스피싱, 랜섬웨어 등 사회공학적 범죄에 이르기까지 대응 전략을 수립·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SKT 측은 피해예방을 위해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방안도 공개했다. 먼저 자사 통화 애플리케이션(앱) 'T전화'를 꼽았다. T전화는 전화 수발신 및 전화번호 검색 시 번호 스팸 유형을 이용자에게 보여주고, 'OO은행 고객센터' 등 정보도 표시해 준다. 

또 SKT가 무료로 제공하는 'T스팸필터링 앱'을 다운로드 받아 기본적 스팸과 스미싱 번호를 차단할 수도 있다. T스팸필터링 앱은 문자, 번호, 국번 기준으로 차단이 가능하고 원하지 않는 문자열도 차단할 수 있다.

SKT 관계자는 "통신사, 금융사, 정부기관 등이 보내는 스팸 및 스미싱, 보이스피싱 등 주의 당부 안내문자를 미리 읽어보고 숙지하는 습관이 중요하다"며 "아울러 스마트폰에 스미싱 문자 탐지 백신을 설치하는 것도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