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T클라우드 제공
/사진=KT클라우드 제공

KT클라우드는 공공·금융 기관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 '공공 DaaS'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표준 등급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CSAP는 공공 기관에 안전성∙신뢰성이 검증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하기 위해 정보보호 기준 준수 여부를 평가·인증하는 제도다.

그간 공공 기관은 보안을 위해 업무용PC와 인터넷용PC를 분리해 1인 2PC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2PC 사용에 따른 비용 부담과 업무상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1인 1PC로 전환을 추진 중이다. DaaS는 이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이다.

공공 DaaS는 클라우드 기반 가상 데스크톱(VDI)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기관 직원들에게 시간·장소·단말 제약 없는 근무환경을 제공한다. VDI 시장에서 최다 고객을 확보한 틸론 'D스테이션9.0' 솔루션을 기반으로 ▲보안성 ▲비용 효율성 ▲관리 편의성 ▲서비스 연속성 등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안전한 자료 전송과 정보유출 통제가 가능한 '망간자료전송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KT클라우드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CSP) 중 가장 큰 규모의 DaaS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우정사업본부에 약 1만대에 달하는 DaaS를 제공하는 등 입지를 다져왔다. 또 지난해 12월에는 한국은행에 국내 1호 공공 DaaS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고 서비스 도입을 진행 중이다.

남충범 KT클라우드 클라우드본부장은 "이번 CSAP 인증 획득을 통해 공공 및 금융 기관 DaaS 도입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며 "DaaS 플랫폼을 지속 고도화할 예정이며, 차별화된 서비스와 운용 역량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공공 DaaS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