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석 KT융합기술원 상무/사진=김가은 기자
박정석 KT융합기술원 상무/사진=김가은 기자

KT클라우드가 오픈AI 대화형 챗봇 '챗GPT'를 넘어서기 위한 연구개발(R&D)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T가 보유한 초거대 AI 언어모델 '믿음(Mideum)'을 기반으로 '강화학습' 기술력을 축적해 시장 내 수요가 많은 기업간거래(B2B)에 초점을 맞추는 모습이다.

1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KT클라우드 서밋 2023'에서 박정석 KT 융합기술원 상무는 "챗GPT가 나온 이후 기업들은 기밀 정보 유출 걱정이 없는, 챗GPT와 동일한 성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해왔다"며 "챗GPT의 핵심은 강화학습"이라고 강조했다.

강화학습은 인공지능(AI) 모델이 적은 데이터만으로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막대한 레이블링 데이터를 투입해야 했던 과거와는 달리, 적은 데이터만으로도 월등한 성능을 내는 점이 골자다. 쉽게 말해, '하나를 가르쳐주면 열을 알도록' 한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최근 초거대 AI 기술은 모델이 학습할 데이터의 방향을 정해주는데 초점이 맞춰져있다.

KT클라우드가 구현 중인 초거대 AI 서비스 B2B 인프라
KT클라우드가 구현 중인 초거대 AI 서비스 B2B 인프라

박 상무는 "강화학습은 AI모델이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답을 내놓도록 하는 기술"이라며 "정확도 향상을 위해 AI가 내놓은 답에 대한 점수를 매기는 '리워드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초점이 맞춰져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KT클라우드 또한 강화학습 기술을 연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KT클라우드가 초점을 맞춘 영역은 B2B다. 기밀정보가 유출되지 않는 AI 서비스 제작 요구가 기업들을 중심으로 폭증했기 때문이다. 기업 수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복잡하고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검색을 통해 잘 찾고 싶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기존 서비스에 초거대 AI를 적용해 고도화를 추진하고 싶다는 요구다.

KT클라우드 측은 이 두 가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검색 기술'이 핵심이라고 판단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제공 중인 챗GPT 기반 '빙챗(Bing Chat)'처럼 웹상에 있는 정확한 정보를 끌어모아 알맞은 답변을 내놓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박 상무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기업 내 정보를 잘 찾아내는 솔루션이 B2B 초거대 AI 분야 핵심"이라며 "이를 위해 KT클라우드는 실제 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롬포트 엔지니어링 툴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그는 "이런 서비스를 기업에 제공하려면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가 선행돼야 한다"며 "실제로 학습과 서비스 추론,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GPU 인프라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