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창작의 자유를 지원해주는 것이 넷플릭스의 영광이라고 생각한다."
테드 서랜도스 넷플릭스 최고경영자(CEO)가 21일 방한 첫 공식 일정에서 이같이 밝혔다. 서랜도스 CEO는 서울 용산구의 한 영화관에서 박찬욱 감독과 영화·영상 콘텐츠 학과 대학생들과 함께 한국 영화 이야기 등을 나누고, 국내 콘텐츠 제작자들과 만남을 가졌다. 행사는 이동진 영화평론가가 진행을 맡았다.
서랜도스 CEO는 넷플릭스 영화인 봉준호 감독의 '옥자'를 언급하며 "한국 영화와 사랑에 빠진 지는 이미 수년이 됐다"고 말했다. 넷플릭스는 2017년 옥자를 시작으로 한국 영화 투자를 늘려오고 있다. 지난해에만 한국에서 '20세기 소녀', '서울대작전', '카터', '모럴센스', '야차' 등 영화를 제작했다.
넷플릭스가 제작을 확정한 한국 영화 숫자는 매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만 두 배 가량 늘었다. 넷플릭스는 최근 박찬욱 감독의 영화 '전,란' 제작 소식을 발표했다. 서랜도스 CEO는 '전, 란'에 대해 "한국 역사에 밀접한 주제로 거장의 손에서 탄생할 영화로, 더욱 기대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박 감독은 넷플릭스와 첫 협업을 하게 된 소감을 전했다. 그는 "스튜디오들이 늘어나며 영화를 만드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며 "창조적인 결정에 있어서 대화가 얼마나 생산적이고, 스튜디오의 문화와 정서가 어떠한가에 따라 결정을 하기 마련인데 넷플릭스와 협업이 잘 되고 있다"고 했다.
서랜도스 CEO는 신인 감독 지원을 통한 창작 생태계 확장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넷플릭스는 박찬욱 감독과 같은 거장들과도 작업하지만, 영화의 5분의 1 정도는 신인 감독의 데뷔작"이라며 "신인 감독들과도 많이 작업하고 있고, 그런 기회를 더 많이 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국내외 창작자에 대한 기술적 지원을 지속해나가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서랜도스 CEO는 "넷플릭스가 가진 많은 툴(도구)을 어떻게 활용하냐에 따라 좋은 영화를 만들 수 있다고 본다"라며 "스토리텔러 뿐 아니라 시청자들에 좋은 (시청)경험을 만들어주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넷플릭스는 영화와 시리즈, 예능 등 장르에 따라 콘텐츠 완성도와 제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프로덕션 기술을 국내 창작자와 공유하고 있다. 특히 작품 후반 제작 과정을 총괄하는 '포스트 슈퍼바이저' 직무도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 체계적으로 전문화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 콘텐츠의 강점에 대한 이야기도 오갔다. 서랜도스 CEO는 "도전적인 문화와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창조적인 커뮤니티를 계속 성장시켰다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박 감독은 "다양한 감정을 복합적이고 큰 진폭으로 담아내는 것이 한국 콘텐츠의 특징"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서랜도스 CEO는 20일부터 22일까지 2박3일 일정으로 방한했다. 이 기간 한국 콘텐츠 투자 계획과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에 국빈 방문했을 때 한국 콘텐츠에 25억달러(약 3조 2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만큼, 그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