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가 4년간 한국 콘텐츠에 25억(3조3000억원)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이 금액은 넷플릭스가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에 투자한 총금액의 2배에 달하는 액수다.
미국 워싱턴DC에 24일(현지시간) 도착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국빈 정상들이 머무는 영빈관 블레어 하우스로 이동해, 테드 서렌도스 넷플릭스 CEO와 면담을 했다.
면담을 마치고 나온 윤 대통령은 "방금 이 자리에서 서렌도스 대표께서 넷플릭스가 앞으로 4년간 K 콘텐츠에 25억 달러, 약 3조 3000억원을 투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투자는 대한민국 콘텐츠 사업과 창작자, 그리고 넷플릭스 모두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넷플릭스의 파격적인 투자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했다.
서렌도스도 "넷플릭스가 이번에 25억 달러를 한국에 투자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4년간 한국 드라마 영화 그리고 리얼리티쇼의 창작을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투자 배경에 대해 "저희가 한국의 창작 업계에 대한 믿음이 있었고 한국이 멋진 이야기를 계속 들려줄 거로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킬러 콘텐츠' 발굴 측면에서 한국의 존재감은 크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역대 가장 많이 시청한 비영어 TV부문 글로벌 '톱10'에 이름을 올린 한국 콘텐츠는 총 3편이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지금 우리 학교는', '오징어게임'이다.
특히 넷플릭스의 최대 흥행 콘텐츠로 꼽히는 '오징어게임' 회당 투자액은 22억원 선이다. 브리저튼(약 83억원), 기묘한 이야기(약 142억원), 크라운(약 154억원) 등 다른 오리지널 시리즈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지만, 수익은 역대급이다. 오징어게임 공개 2주 만에 넷플릭스 시가총액은 101억 달러(약 12조원)가량 늘어났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시외 주가 폭락" 11년만에 가입자 빠진 넷플릭스...亞서 돌파구 찾는다
- '오징어게임' 美 에미상 4관왕…"비영어권 최초 역사 썼다"
- 숫자로 보는 올해의 '넷플릭스'..."21개 韓 콘텐츠, 2.2억명 만나"
- 넷플릭스 유료가입자 766만명 증가…창업자 헤이스팅스 명예퇴진
- 韓日 '셔틀외교' 본격화…尹 "반도체·AI 등 첨단 과학기술 R&D 협력 추진"
- "콘텐츠 제작 기술 공유"…넷플릭스, 국내 창작자 대상 워크숍
- 넷플릭스 CEO 방한 화두는?...'콘텐츠 투자·제작환경 선진화·망사용료'
- 한국 찾은 넷플릭스 CEO..."창작 자유 지원할 수 있어 영광"
- 넷플릭스 CEO "지금까지 투자, 韓 잠재력 비하면 겉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