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세계 1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인력난으로 인해 미국 애리조나주 반도체 공장 가동을 연기합니다.

류더인(마크 리우) TSMC 회장은 지난 20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설명회(컨퍼런스콜)에서 "애리조나 공장의 가동 시기를 기존 2024년에서 2025년으로 연기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류 회장은 "기존 일정에 맞춰 첨단 장비를 설치하려 했지만 숙련된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며 "대만 전문 엔지니어들을 파견해 현지 근로자들을 훈련시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TSMC는 2021년 4월부터 애리조나 반도체 공장(팹) 건설을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12월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등과 함께 장비 반입식을 열었습니다. TSMC는 애리조나 공장의 1기 공정 시설을 2024년부터 가동해 5나노(nm·10억분의 1m)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이었습니다. 2026년에는 2기 공정 시설에서 3나노 반도체를 생산하는 게 목표였습니다.

이번 TSMC의 발표로 애플의 계획에도 변동이 있을지 주목됩니다. 팀 쿡 CEO는 지난해 장비 반입식에 참석해 "많은 사람의 노고 덕분에 (애플 제품에 들어가는) 칩에 '메이드 인 아메리카' 도장을 찍을 수 있게 됐다"며 "애플은 TSMC의 애리조나 공장에서 생산된 칩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애플은 그동안 TSMC 대만 공장에서 생산된 칩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반도체 인력난은 예견된 것입니다. 지난 5월 미국 외교정책 전문지 포린폴리시(FP)는 오는 2030년 반도체 업계의 기술자 수요 대비 가용인력이 약 40만명 부족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포린폴리시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기업에 대규모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가운데 전문 인력을 육성할 시간적 여유는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대만 중앙통신사(CNA)는 지난 22일 TSMC는 오는 28일 대만의 글로벌 연구개발(R&D) 센터 출범식을 진행한다고 보도했습니다. CNA에 따르면 류 회장은 최근 "글로벌 R&D 센터를 대만의 벨 연구소로 만들어 미래 장기 R&D 전략을 짜겠다"고 말했습니다.

과연 미국 정부가 반도체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을 꺼내들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