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가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바일 : NEMO 2023'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남도영 기자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가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바일 : NEMO 2023'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남도영 기자

"AI가 우리의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모빌리티에 특화된 생성형 인공지능(AI) 구축에 나선다.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재구축된 'AI 모빌리티 플랫폼'을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빌리티 : NEMO 2023' 행사에서 "회사가 보유한 라우팅 엔진, 운송관리시스템(TMS) 엔진, 프라이싱 엔진, 배차 엔진 등 다양한 AI 기술을 기반으로 각기 장점이 다른 AI 기술들의 결합을 통해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더욱 새로워진 AI 엔진들과 플러그인들을 다양한 파트너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모빌리티 AI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 CTO는 "생성형 AI가 고도화됨에 따라 이동의 수요와 공급 양 측면 모두에서 진일보한 AI가 도입되는 시기가 곧 도래할 것"이라며 "수요의 측면에서는 여객, 물류, 서비스 등 모든 이동 영역에서 AI가 맥락을 이해하고 정보를 처리해 수요를 발현시킬 것이며, 공급 영역에서는 이미 자율주행 운송 및 로봇 배송과 같이 플랫폼과 결합해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AI들이 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가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ㅇ남도영 기자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가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바일 : NEMO 2023'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이영아 기자

유 CTO는 이 같은 변화에 발맞춰 모빌리티에 특화된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 플랫폼 전반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최근 생성형 AI 기술을 필두로 기존의 규칙과 패턴 기반의 정보 처리 능력을 넘어서 간단한 추론과 창작까지 가능한 수준의 AI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이런 초거대 모델은 질의응답, 문서요약, 맥락추론, 번역 등의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모빌리티 플랫폼에 필요한 거리계산, 시간계산, 경로산정, 위치추정 등에는 약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한 모빌리티에 특화된 AI 기술을 초거대 모델에 결합한 생성형 AI 모델을 내년 상반기까지 테스트와 검증을 거쳐 선보일 것"이라며 "생성 AI를 기반으로 확장된 여행플래너, 운행기록 AI, 운행리뷰 등의 서비스를 내부 테스트 중"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AI를 플랫폼에 통합하기 위한 다양한 기반 기술을 준비하고 있으며, 플랫폼의 진화를 위해 다양한 파트너들과의 연동을 통한 수요 통합을 진행 중이다. 이 회사의 '카카오 T' 플랫폼엔 통합검색 서비스, 카카오대리 수요 예측, 카카오내비 경로 추천, TMS 엔진 등의 자체 구축한 AI 기반 기술이 접목되어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영국의 스플리트(Splyt)를 인수해 전 세계 다양한 이동 수요를 통합하고 고도화 작업을 지속 중에 있다. 또 라스트마일 물류 분야에서 지난달 개발자 센터를 오픈, 다양한 물류 시스템과 쉽게 연동 가능한 준비를 마쳤다. 이를 통해 20여 개 이상의 파트너들이 카카오모빌리티의 물류 API를 활용해 배송을 요청하고 있다. 자율주행, 로봇 등 AI 기반 이동 서비스를 위한 기반 기술 고도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유 CTO는 "생성형 AI 시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 있고, 반면 잘 적응하면 변화의 시기에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카카오모빌리티가 도태된다면 한국의 모빌리티가 도태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