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실내 로봇부터 수직 물류까지 배달 서비스 확장에 나선다.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빌리티 : NEMO 2023'에서 권오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 사업개발 담당은 자사 관제 플랫폼과 디지털 트윈 기술이 현재의 로봇 기술을 우리의 일상과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지를 소개했다.
관제 플랫폼은 고객과 로봇의 연결고리다. 기준 정보를 업무(Task) 단위로 분석하고 관리해 이를 기반으로 로봇이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과정을 진행한다.
권 담당은 "이를 통해 로봇이 서비스를 단순화해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유연하게 수용하며 갑작스러운 상황 변화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돕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카카오모빌리티의 '디지털 트윈' 기술은 플랫폼을 정교화하고 로봇이 확산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준다"며 "풍부한 정보와 높은 정밀도를 가진 로봇용 맵을 낮은 비용으로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 로봇이 쉽게 확장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3월 카카오모빌리티 사옥에서 선보인 커피 로봇 배달 서비스를 시작으로, 현재실내로봇부터 실내 수직 물류와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권 담당은 "향후에는 배달 앱 등과 연계한 건물 내부의 식음료 배달 서비스, 우편물 배달 서비스 등으로 서비스 영역을 지속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 지상은 물론 하늘길까지 연결하는 'AI 모빌리티 플랫폼' 선보인다
- [NEMO 23]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CTO "내년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모델 선보인다"
- [NEMO 23] 구글 "플랫폼·데이터·AI 결합으로 운영 효율 높인다"
- [NEMO 23] 'Ko-GPT' 만난 '카카오 T'…이동 경로 추천에 예약까지 '척척'
- [NEMO 23] 일상에 스며드는 생성형 AI "플랫폼 가능성 무한하다"
- [NEMO 23] '카카오T' 하나로 전 세계 여행…"끊김없는 여정 만들겠다"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가 품은 英 스플리트 "AI 슈퍼앱 진화"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 AI 자동화 기반으로 '플랫폼 물류 시대' 연다
- [NEMO 23] 택시 산업 혁신해온 카카오T "이제 AI 만나 진화"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 "고정밀지도·자율주행으로 내비 기술 확장"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가 만드는 생성형 AI는 '챗GPT'와 뭐가 다를까
- 카카오모빌리티 "연내 택시 매칭 시스템 개선 방안 마련"
- 카카오T 택시 배차, 플랫폼 중 가장 빨랐다
- 외국인 관광객도 한국에서 카카오T 택시 호출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