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을 통해 일상의 혁신을 이끌기 위해서는 '플랫폼·데이터·AI' 결합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올리버 레츠버그 구글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인공지능·데이터(AI·DA) 부사장은 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빌리티 : NEMO 2023' 행사에서 기조연사로 등장, 이같이 밝혔다.
레츠버그 부사장은 "고객들의 상호작용이 신비로운 마술과 같은 경험준다. 앱을 열었을 때, 내가 찾던 제품과 장소 쉽게 찾아진다"라며 "이전에는 전문가가 해야하는 영역까지 쉬워졌다. 생성형 AI 통해서 새로운 경험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세상, 최첨단 AI 역량 발휘를 위해서 ▲기반이 되는 플랫폼 ▲AI와 데이터의 결합 ▲안정된 환경 등 3가지를 꼽았다.
레츠버그 부사장은 "데이터 체계화하고, 결합하고, 규모있게 알고리즘을 데이터에 적용할 플랫폼이 필요하다"면서 "데이터가 바로 들어와서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플랫폼은 이를 위한 거점이 돼야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AI와 데이터를 결합해야 한다"라며 "맞춤화된 AI 경험을 고객사에게 만들어줄 수 있는 역량이다. 웹사이트-모바일앱을 통해 찾기 어려운 정보를 고객이 쉽게 찾도록 도와준다. 이미지나 텍스트를 생성해서 고객 커뮤니케이션 플랫폼과 더해야한다"고 말했다.
레츠버그 부사장은 "모든 것을 하나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환경이 조성돼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모델이나 포맷이든 정형화, 비정형화, 반정형화든 바로 접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다. 구글은 쿼리-버텍스AI-루커가 통합돼 가능하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구글은 이같은 과정을 거쳐 월마트-로레알 등 파트너를 확보, 운영과 업무 효율에 있어서 성과 있었다"고 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 지상은 물론 하늘길까지 연결하는 'AI 모빌리티 플랫폼' 선보인다
- [NEMO 23]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CTO "내년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모델 선보인다"
- [NEMO 23] 'Ko-GPT' 만난 '카카오 T'…이동 경로 추천에 예약까지 '척척'
- [NEMO 23] 일상에 스며드는 생성형 AI "플랫폼 가능성 무한하다"
- [NEMO 23] '카카오T' 하나로 전 세계 여행…"끊김없는 여정 만들겠다"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가 품은 英 스플리트 "AI 슈퍼앱 진화"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 AI 자동화 기반으로 '플랫폼 물류 시대' 연다
- [NEMO 23] 택시 산업 혁신해온 카카오T "이제 AI 만나 진화"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 "고정밀지도·자율주행으로 내비 기술 확장"
- [NEMO 23] '배달' 힘주는 카카오 "식음료·우편물까지 확장"
- [NEMO 23] 카카오모빌리티가 만드는 생성형 AI는 '챗GPT'와 뭐가 다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