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메모리 반도체 생산량을 줄이며 고정비 부담이 늘어난 탓이다. 다만 올 4분기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매수 관점은 여전하다는 의미다.
15일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리포트를 통해 "메모리 감산에 따라 고정비 부담이 가중되며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밑돌 것"이라며 "생활가전 부문도 마케팅 비용이 늘어나 영업익이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키움증권이 예상한 삼성전자의 3분기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12% 증가한 67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167% 늘어난 1조8000억원으로 예상했다. 현재 매출액 컨센서스는 67조9700억원, 영업이익은 3조60억원에 형성돼있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감산 영향에 주목했다. 그는 "삼성전자는 현재 30% 이상의 메모리 감산을 시행하고 있으며 4분기엔 그 규모가 더 확대될 것"이라며 "내년 반도체 시황 개선을 위해선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감산의 영향으로 생산원가 상승은 불가피하다"며 "최근 단행한 가격 인상이 수익성을 얼마나 제고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짚었다. 삼성전자는 최근 스마트폰 고객사에 공급하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삼성전자에 대해 3분기 실적은 저조하겠지만 주가가 우상향할 것이란 전망도 했다. 박 연구원은 "3분기 실적 부진은 감산의 영향이기에 단기 주가 흐름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 확대·메모리 가격 반등 등 사업 환경이 개선되고 있어 삼성전자의 주가는 상승 동력을 갖췄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주가로 9만원을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모바일 기기 의존도가 높아 실적 개선은 더디지만, 최악의 국면은 지난 상태"라며 "감산을 통한 재고 개선, 업황 회복 등을 고려하면 삼성전자 주가는 저점을 높여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증권사는 목표주가를 8만7000원으로 유지했다.
아울러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4분기 말부터 공급축소에 따른 수급 불균형이 현실화되며 내년부터 상승 사이클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전개될 것"이라며 "2024년부터 삼성전자는 AI 서버 응용처 확대 (Trainnig → Inference, edge computing, mobile 등)에 최적화된 GDDR7, CXL, PIM 등 차세대 메모리 제품의 생산 본격화가 예상돼 향후 신규 고객사 확대의 강점 요인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아이폰15 미리보기] ③애플 vs. 삼성,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장 '불꽃 경쟁'
- 상하이 가로지른 '갤럭시 Z 플립5'…삼성, 중국 폴더블폰 시장 공략 박차
- '재수생' 밀리의서재의 IPO 자신감...흑자 플랫폼 기업+KT그룹 후방 지원
- 429만원 '갤럭시 Z 폴드5 톰브라운 에디션' 응모에 11만명 몰려
- "건강관리도 똑똑하게"...MZ 사로잡은 헬스케어 스타트업들
- [글로벌] 애플, 2026년까지 퀄컴 칩 사용...자체 개발 난항 겪나
- 삼성전자, 한정판 '갤럭시워치6 PXG 에디션' 내놨다
- 삼성전자,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전용 '더 월' 유럽 시장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