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스마트 배차∙실시간 관제∙화물차 전용 내비∙빠른 정산을 지원하는 화물운송 중개 DX플랫폼 '화물잇고'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가 스마트 배차∙실시간 관제∙화물차 전용 내비∙빠른 정산을 지원하는 화물운송 중개 DX플랫폼 '화물잇고'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가 화물 중개 및 운송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DX플랫폼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LG유플러스는 화물운송 중개 DX플랫폼 '화물잇고'를 이달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상품 운송의 중간 단계이자 주로 B2B 운송을 의미하는 미들마일 시장이 타깃이다. 

미들마일 시장은 37조원에 달하는 시장규모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아날로그의 땅이라 불릴 정도로 디지털화가 부족한 시장이다. 게시판 수준의 화물 정보망, 전화 접수 및 운송장 수기 작성, 프로세스 없는 배차 시스템 등 영세사업자들을 중심으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면서 배차 오류, 화물과 차주간 분쟁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화물잇고는 화물 접수에서부터 배차, 운송, 정산, 거래처 관리 등 화물 중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플랫폼 안에서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주선사가 전용 웹을 통해 화물을 등록하면 차주들이 모바일 앱을 통해 원하는 화물을 직접 선택하는 구조로, 주선사와 차주 사이에서 적정 화물 매칭·빠른 배차를 제공하는 일종의 스마트 배차 서비스다. 

LG유플러스는 서비스 개발에 앞서 기존 운송 프로세스에서 차주와 주선사가 느끼는 페인포인트를 면밀히 분석한 후, 빠르고 안정적인 플랫폼 구축을 위해 화물 내비∙물류 솔루션 기업 로지스텍과 협업해 서비스 커스터마이징에 돌입했다. 실제 중대형 주선사와 운송사를 찾아가 현장을 조사하고, 서비스 출시에 앞서 수개월에 걸쳐 실제 고객들을 대상으로 화물잇고의 실증 서비스를 진행했다. 

LG유플러스는 서비스 출시에 앞서 강동물류, 디버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강동물류의 경우 700여대의 운송 차량과 매출 300억원 이상 규모로 상위 5%에 속하는 화물 운송 중개 기업으로 전국 물류 네트워크를 통한 고객 확보에 탁월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라스트마일 디지털물류 스타트업인 디버는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로 탄탄한 수요층을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다.

LG유플러스는 화물잇고 출시 초기에는 고객들에게 별도의 비용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 이용자 부담을 줄이고 플랫폼 이용률을 높여 시장에 빠르게 안착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빠르게 성장시켜 3년 내 1500억원 이상 매출 규모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은 "커넥티드 카, C-ITS/자율주행 등 다양한 B2B 모빌리티 분야에서 쌓아온 DX 경쟁력에 더하여 업계 전문 파트너사의 역량을 활용하면 경쟁사 보다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화물 정보 포탈 서비스이자 강력한 DX 플랫폼인 화물잇고를 통해 상생하는 화물 시장 생태계를 빠르게 조성하고 아날로그 시장에 물류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