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서 CTO 기업서비스 개발LAB 담당(왼쪽부터),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 강종오 스마트모빌리티 사업담당 상무가 '화물잇고' 출시 간담회에 참석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사진=조성준 기자
전영서 CTO 기업서비스 개발LAB 담당(왼쪽부터),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 강종오 스마트모빌리티 사업담당 상무가 '화물잇고' 출시 간담회에 참석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 사진=조성준 기자

LG유플러스가 화물 중개 및 운송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DX플랫폼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ICT 분야의 블루오션으로 꼽히는 미들마일 시장에서 경쟁 기업들과 시장 전반의 시너지를 이끌어내겠다는 목표다. 


ICT업계 격전지로 꼽히는 '미들마일'

LG유플러스는 화물잇고를 이달 출시하고 본격적인 서비스에 돌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상품 운송의 중간 단계이자 주로 B2B 운송을 의미하는 미들마일 시장이 타깃이다. 

미들마일 시장은 시장규모가 37조원에 달하지만 아직 디지털화가 덜 된 '미지의 땅'으로 꼽힌다. 본격적으로 IT시장이 형성된지 1년도 채 되지 않아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도 사실상 없다. 화물운송 과정에서 쌓여있는 정보는 게시판 수준에 불과하고 전화를 통해 접수하거나 수기로 작성하는 등 디지털화가 더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IT업계에서도 미들마일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KT가 지난해 '브로캐리'을 출시하며 화물 운송에 AI를 적용하기 시작하며 시장이 커지기 시작했으며, 올해 초에는 티맵모빌리티가 '티맵화물'을 공개하며 미들마일 시장에 디지털이 접목되고 있다. 카카오 역시 미들마일 시장 진출을 선언하고 조만간 관련 서비스를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LG유플러스가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 사진=조성준 기자
LG유플러스가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 사진=조성준 기자

 

LG유플러스는 경쟁사들과의 차별점으로 사업모델을 꼽았다. 타 서비스가 화주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한다면, 화물잇고는 주선사와 차주를 연결하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차주를 위한 서비스에 집중해 종합 커뮤니티 포털로의 발전도 꾀하고 있다. 특히 차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출시 이후 당분간 비용을 받지 않기로 했다. 

강종오 스마트모빌리티 사업담당 상무는 "경쟁사와 사업모델이 겹치지만, 다양한 플랫폼 업체들이 나서 경쟁하다보면 시장 전반에 시너지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화물 중개 시장에 특화된 AI모델을 누가 먼저 빠르게 만드느냐가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가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 사진=조성준 기자
LG유플러스가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 사진=조성준 기자

 


화물 중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 한 곳에

화물잇고는 화물 접수부터 배차와 운송, 정산, 거래처 관리 등 화물 중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주선사가 화물을 등록하면 차주들이 모바일 앱을 통해 원하는 화물을 직접 선택하는 구조로, 주선사와 차주 사이에서 적정 화물 매칭·빠른 배차를 제공하는 스마트 배차 서비스다. 

화물잇고는 주선사에 실시간 운송 관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들의 요구를 빠르게 반영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강동물류와 파트너십을 맺고 수개월에 걸쳐 실증 서비스를 진행해 왔다. 강동물류는 700여대의 운송 차량을 통해 상위 5%에 속하는 화물 운송 중개 기업이다. 

LG유플러스가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가 '화물잇고'를 출시하고 미들마일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 사진=LG유플러스 제공

 

또 신한카드와 협력해 빠른 정산이 가능하도록 지원했다. 원클릭 운송료 카드 결제, 각종 거래 내역서 다운로드, 실시간 대시보드를 통한 월별 레포트 등을 통해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던 운송 후 후속 업무를 일원화, 간소화 해 주선사의 업무 효율화를 돕는다. 화물차 운전자는 주선사가 현금이 없거나 화주에게 정산받기 전이라도 화물 운송료 전용 결제카드를 통해 운임료를 선정산 받을 수 있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은 "화물운송중개 플랫폼 시장은 이제 막 디지털화되는 시장으로, LG유플러스가 포지션을 확보할 수 있는 시장"이라며 "업무프로세스를 강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 미들마일 시장의 DX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