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자국 내 대표적 빅테크들을 사실상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른바 '황금주'로 불리는 1% 지분 매입을 통해 경영에 개입하는 모습입니다.
홍콩 명보는 지난달 27일 중국 정부가 국유기업을 통해 1% 지분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알리바바의 자회사 15곳을 통제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명보는 알리바바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요구에 따라 제출한 자회사 내 중국 국유기업 지분 현황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국유기업 저장 이퉁이 알리바바 계열 동영상 업체 유쿠의 등록자본금 1%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유기업 쑤이청 테크놀러지가 보유한 온라인 투자사가 알리바바의 게임·동영상 기술 자회사의 지분 1%를 갖고 있습니다.
이외에 알리바바의 스포츠, 물류 등 자회사에도 중국 국유기업 지분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이른바 '1% 황금주'라고 불리는 주식으로, 특정 상황에서 결정적인 투표권을 부여받으며 주로 정부 기관이 보유합니다. 황금주는 보유 수량이나 비율에 관계없이 1주만 갖고 있어도 기업의 경영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통상 인수합병 관련 주주총회 결의 사항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럽에서 1980년대 정부의 황금주 매입이 유행했지만 주주 평등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대부분 나라들이 이런 형태의 기업 지배를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선 2015년 '특수관리주'라는 명칭으로 주요 민간 기업의 경영에 개입하는 수단으로 써왔습니다.
중국은 알리바바 이외에도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 차량호출업체 디디추싱 등의 황금주도 1% 정도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들 빅테크 자회사의 황금주를 매입한 국유자본은 출처가 분명하게 드러나진 않았지만 중국 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CAC) 관련 조직이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황금주 확보를 통한 중국 정부의 통제가 중국 빅테크 업계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中, 화성 헬리콥터 프로토타입 공개...100년전 최초의 비행기 역사 재연?
- [글로벌] 中, 2024년 우주관광 서비스 출시 예고...'우주 굴기'는 계속된다
- [글로벌] 中, 모바일 패널 기술력 강화...삼성·LG에 위협?
- [글로벌] 中, 반도체 부패 뿌리 뽑는다...기금 운용사 등 반부패 수사 박차
- [글로벌] '황금주' 사들이는 중국 정부...빅테크 경영 옥죄인다
- [글로벌] 中, 마이크론에 사이버보안 조사..."한·일 반도체 향한 경고장"
- [글로벌] 민간 최초 달 착륙선, 임무 조기 종료...착륙 중 넘어졌다
- [글로벌] 美 공군, AI 무인 전투기 개발한다...5년간 80조원 투입
- [글로벌] 中 알리바바, 진짜 '로켓배송' 추진..."전세계 1시간 배송 도전"
- 알리바바 클라우드, 최대 59% 가격 인하…"AI 시대 성장 지원"
- [글로벌] 日, '빅테크 규제법' 내년 시행..."애플·구글 과점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