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말 '챗GPT'로 촉발된 AI 혁명이 불과 1년 반 사이에 엄청난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망이 어려울만큼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상용화도 전래없는 속도로 진행 중입니다. 기업들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고, 이는 AI 산업 성장을 더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AI 혁명은 오픈AI를 필두로 한 트랜스포메이션 모델의 발전과 이를 뒷받침하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 공급이 주도해왔습니다. 연산량과 데이터 크기, 모델 크기를 키우면 키울수록 성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생성형 AI 모델의 특성은 엄청난 컴퓨팅 자원을 흡수하고 있고, 이로 인한 AI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은 엔비디아에 막대한 부를 선사했습니다.
관련기사
- [테크M 프리미엄] "맥북 보단 코파일럿+PC"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 저격한 이유는
- [테크M 프리미엄] IPO 나선 시프트업의 기업가치가 3.5조?...'거품'일까 '진짜'일까
- [테크M 프리미엄] 다시 부는 '중국몽'...침체된 한국게임 새 기회가 온다
- [테크M 프리미엄] 제4이동통신사 필요합니까?
- [테크M 이슈] 'AI 공장' 세운다는 엔비디아, 젠슨 황의 거대한 야심은 어디까지
- [테크M 프리미엄] 돈은 엔비디아만 번다? 함정에 빠진 AI 혁명
- [테크M 이슈] 대만에서 펼쳐진 '칩워'…AI 주도권 놓고 자존심 대결
- [테크M 프리미엄] 비트코인이 쏘아올린 공...토큰증권, 결국 기회가 온다
- [테크M 프리미엄] 게임산업 위기론 속 다시 등장한 퍼블리싱 모델을 주목하라
- [테크M 프리미엄] 엔씨표 '브롤' 배틀크러쉬...'엔또속' 아닌 '달라진 엔씨' 증명하라
- [테크M 프리미엄] 출격 앞둔 '폴더블6' 지원금에 쏠린 눈....절충형 완전자급제 논의 '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