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폐지와 가계 통신비 절감 논의가 이어지면서 단말기 가격 인하 필요성이 제기 되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제도가 바뀐다고 해도 장려금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긴 힘들다고 전했다. 장려금 재원에 한도가 있다는 것. 또 삼성전자는 소비자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 10~20만원대 중저가 제품도 촘촘하게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단통법 폐지 및 바람직한 가계통신비 저감 정책 마련' 토론회에서 윤남호 삼성전자 상무는 "삼성전자도 단통법 폐지 이후 제도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며 "단말기 가격에 대해 말씀을 해주시는데, 삼성전자 같은 경우 미국 및 중국 업체들과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쟁 우위를 찾으려면 연구개발을 지속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윤남호 상무는 "아시다시피 원자재값과 인건비 등이 많이 상승해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상황"이라며 "가격을 많이 낮추면 좋은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선 글로벌 어느 국가 보다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소비자 선택권을 위해 중저가 제품을 촘촘하게 공급 중"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윤 상무는 "이동통신사에 제공하는 장려금 경우에도 절충형 완전 자급제 등 어떤 제도 변화가 있더라도 큰 변화가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동통신사는 서비스 매출을 내는데, 삼성전자는 제품 하나를 팔아서 이익을 남겨야한다. 삼성전자는 장려금을 쓰는 재원에 한도가 있어 제도가 바뀐다고해서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긴 힘들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완전 자급제가 단말기 가격을 인위적으로 인하시킬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며 "동시에 단말기 구입을 따로하고 서비스 구입을 따로 해서 소비자가 불편할 수 있고, 유통망 전반적으로 축소돼 단말기 판매량 급감하게 되면 매출 하락으로 이어지고 사업하는데 있어서 악순환의 시작점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윤 상무는 "절충형 완전 자급제의 경우에도 삼성전자는 유통점이 아니고 판매자라 직접 거래에 대한 부담이 있다"며 "판매점이 하루에 수십개씩 창폐업하기 때문에 전반적 운영도 어려울거라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폐기되는 IT 법안] 정부 의지 강했지만...무산된 단통법 폐지
- 단통법 폐지 견해 밝힌 유상임 후보자…"역할 수명 다했다"(종합)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공식일정 시작...R&D 개혁·단통법 폐지 속도낸다
- "단통법 폐지 자체가 목표 아니다...중요한 것은 이용자 보호·후생"
- 단통법의 명과 암..."지원금 자율 경쟁 체계로 바꾸고 선택약정 할인은 유지해야"
- KTOA "가계통신비 인하 위해선 통신비·단말비·OTT비 세분화해야"
- 단통법 폐지 동의하지만...정부·통신사·제조사·유통망·알뜰폰 '동상이몽'
- "韓 통신비 비싸다는 오해는 단말 가격 때문...총 통신비 약 60%가 단말 비용"
- "단통법 시행 10년은 불공정의 시기"...이동통신유통협회, 단통법 폐지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