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실장(가운데) / 사진=이성우 기자
송철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실장(가운데) / 사진=이성우 기자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해선 통신비를 세분화해야 한다는 견해를 냈다. 통신비, 단말비, OTT비를 따로 봐야 기준을 세울 수 있다는 설명이다.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열린 '단통법 폐지 세미나'에서 송철 KTOA 실장은 "가계통신비에는 통신 서비스 요금 뿐만 아니라 단말비, OTT비 등이 포함돼 있다"며 "구체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것이 선행되어야 어떤 가격이 높은지, 저렴한지 알수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단통법이 처음 생긴 2014년과 2024년의 제조사 환경은 다르다고 강조했다. 현재는 애플과 삼성의 과첨체제라는 설명이다. 송 실장은 "특히 플래그십 스마트폰 중심으로 고급화 전략이 계속되고 있다"며 "가계통신비 증가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반면 통신사의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3만원 밑으로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유무선 결합 상품 할인율이 높고, 선택약정할인 제도를 보편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며 "특히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0년 간 통신 서비스 물가가 2% 감소했다. 다른 분야에선 10~30%까지 증가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요즘 자급제폰과 알뜰폰 조합을 선택하는 소비자 등이 등장하면서 이용자들이 똑똑해지고 있다"며 "통신사는 요금제 스펙트럼을 다양화해 선택권을 강화했지만 이동통신사의 지원금만으론 저렴한 단말기 구입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