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이 바뀌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한달이 지난 지금 경제적 지표들이 상승하면서 국민들의 기대감이 높아져 가고 있다.
하지만 유일하게 떨고 있는 업계가 있다. 바로 유통업계다. 특히 대기업이 다수 포진해있는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이재명 대통령이 과거에도 한결같이 규제를 외쳤던 곳이기에, 잔뜩 숨죽이고 있는 모양새다.
사실 오프라인 시장의 대형마트는 규제의 대상이라고 하기에는 억울한 부분이 너무나 많다. 우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온라인 시장에 이미 많은 소비자를 빼앗긴 상황이다.
지난해 국내 유통시장은 온라인 시장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 주문 이후 다음날 바로 도착하는 배송 시스템이 안정화되면서, 오프라인 시장은 온라인 시장에 소비자와 주도권을 모두 빼앗겼다.
대형마트는 2020년 유통시장 부동의 1위였지만, 현재는 백화점과 편의점에 밀려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점유율이나 매출,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볼 때 대형마트는 오히려 도움을 받아야하는 상황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홈플러스가 지난 해 부도 위기를 맞은 것도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대형마트 의무 휴일은 지난 2012년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진 정책이다. 하지만 십수년이 지난 현재는 골목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등장했고, 의무 휴일이 생겨난 명분마저 사라진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형마트는 여전히 정부의 규제 대상이다. 정부는 유통 규제 관련 법안을 발의한 더불어민주당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전통시장을 살린다는 명목으로 진행된 월 2회 의무 휴업이 고착되고, 공휴일 휴무라는 최악의 규제가 실시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으로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연령대는 40대~50대다. 한국갤럽에 따르면 연령대별 대형마트 월간 방문률을 조사한 결과 40대가 가장 많은 63%, 50대가 두번째로 많은 60%의 비율을 보였다. 대형마트 의무 휴일에 불편함을 느낄 연령대 역시 같을 확률이 높다.
대형마트 의무 규제가 효용성이 없다는 연구 결과와 국민들 대다수가 규제를 찬성하지 않는다는 설문조사 등 객관적인 데이터를 모두 보고도 규제를 외치는 정부를 설득할 어떤 데이터가 필요할까. 그들을 지지하는 40~50대를 위해 규제를 더 강화하지 말아달라고 하는 것은 억지일까.
어떻게 해야만 대형마트는 규제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일까. 이런 억지(?)스러운 데이터라도 들이밀어 생떼(?)을 부려야 하는 것인지, 대형마트 휴무로 불편한 40~50대 목소리와 고민하는 업계의 고충을 한 번쯤이라도 생각해 보길 바란다.
이소라 기자 sora@techm.kr